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이슈기획2] "명품인가, 사치품인가" 크리스찬 디올, 국내 여론 악화

  • 등록 2024.07.05 17:27:31
크게보기

노동착취로 만든 명품백, 국내 소비자들 불매 목소리 커져
"원가는 8만 원, 가격은 384만 원"에 충격
1조 매출, 0.001% 기부, '사회적 책임' 논란도 불거져
"말만 윤리 경영?" 명품 다운 태도와 노력 필요해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프랑스의 유명 명품 브랜드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 CEO 델핀 아르노, 크리스챤디올꾸뛰르코리아, 대표 트렁히엔트란/콩메이완샤론, 이하 '디올')이 최근 불거진 노동착취 방치 문제로 한국에서 뭇매를 맞고 있다.

 

일부 국내 소비자들은 디올이 소비자들의 관심으로 큰 매출을 내면서도 기업으로서 지켜야할 책임은 지지 않고 있다며, 불매 운동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청업체 노동착취 방치, 윤리 경영에 '구멍' 

이번 논란은 이탈리아에 있는 디올의 한 사업부가 디올 가방을 만드는 하청업체의 '노동착취' 행위를 방치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이탈리아 밀라노 법원에 따르면, 이탈리아 밀라노 검찰이 노동력 착취 등 불법 노동으로 제조 원가를 낮춘 기업들을 지난 10년간 수사한 결과, 디올 가방을 만드는 하청업체 4곳의 노동자들이 철야와 휴일 근무 등 장시간 강도 높은 노동에 시달린 것으로 파악됐다.

 

 

디올의 하청업체 노동자들은 24시간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 작업장에서 잠을 자야만만 했으며,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기계의 안전장치도 제거된 채 작업을 진행했다. 더 충격적인 사실은 이렇게 열악한 환경에서 제조된 디올 핸드백은 원가가 약 8만 원에 불과하지만 매장에서는 약 384만 원에 판매됐다는 것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디올의 가격에 대해 "명품 특성상 가격 책정 방식이 원가 중심 기준이 아니고 수요와 가치 중심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래서 가격 자체만으로 얘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디올이)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가격을 올린다거나 할 때는, 소비자들이 사지 않는다던가 하는 합리적인 태도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가격을 올려도 명품이니까 무조건 사기만 하면 된다는 식의 태도는 소비 행태에도 좋지 않고 건강한 시장을 형성하는 데도 저해가 된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단순히 브랜드의 명성에 의존하지 않고 제품의 생산 과정과 윤리적 책임을 고려한 구매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를 통해 명품 브랜드들이 노동 착취와 같은 비윤리적 행태를 반복하지 않도록 견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불거지면서,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불매 운동 목소리도 나오기 시작했다.

국내 온라인 명품 커뮤니티 시크먼트 등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많은 이들이 디올 제품을 구매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 일부 회원들은 "가방을 산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이런 이슈가 터져서 당황스럽다"며 "당분간 사람들이 디올 가방을 보면 노동 착취라는 말을 먼저 떠올릴 것 같아 들고 다니기 부끄러울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디올의 모회사인 LVMH((루이뷔통모에헤네시, 회장 베르나르 아르노) 그룹은 회사 홈페이지에 게시한 '공급업체 윤리 강령'을 통해 통해 "LVMH 그룹은 파트너가 윤리, 사회적 책임 및 환경 보호 측면에서 공통된 규칙, 관행 및 원칙을 지키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LVMH 그룹이 각 하우스가 모든 파트너(공급업체, 유통업체, 하청업체 등)와 책임감 있고 공정하며 정직한 모범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촉진하기를 기대하는 이유다. LVMH 그룹의 각 하우스는 공급업체에게 본 공급업체 행동 강령에 명시된 윤리적 원칙을 준수하고 자체 공급업체 및 하청업체가 이러한 원칙을 준수하도록 보장할 것을 약속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LVMH와 디올의 경영 원칙과는 상반되는 결과로 보여진다. 

 

 

공교롭게도, 노동착취 논란이 알려진 6월 25일을 기점으로 디올의 주가 또한 한동안 하락세를 보였다. 소비자들의 불만이 고조되면서 나타난 이미지 타격이 주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논란에 대해 디올 측은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노동착취를 방치한 디올의 모회사인 LVMH 그룹측 관계자들은 사건에 대한 로이터 통신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본지 또한, 한국 사업부인 크리스챤디올꾸뛰르코리아의 입장을 듣기 위해 관계자에게 연락을 시도했지만, 아무런 답변도 오지 않았다. 


명품의 가치는 가격 아닌 태도에서, "사회적 책임 신경써야"

이번 사태로 한동안 디올은 명품 브랜드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디올이 노동 착취를 통해 가방을 만들었다면 소비자들이 명품백을 떠올리는 이미지에 '노동 착취'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투영될 수 있다. 명품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의 역사와 가치, 철학 등을 보고 가치를 매기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들의 감성과 감정과 연결된다. 이 때 노동 착취를 통해 만든 브랜드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생각해 볼 수 있다. 브랜드 가치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최근 디올은 제품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 점도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회사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디올은 7월 1일부터 국내 면세채널에서 코스메틱 가격을 평균 3.2%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1월에 로즈드방, 디올아무르, 젬디올 등 고가의 귀걸이·팔찌·반지 등 제품의 가격을 최대 12% 넘게 올린 이후 불과 5개월 만이다.

 

디올은 지난해 한국에서만 처음으로 매출 1조 원을 넘어섰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크리스챤디올꾸뛰르코리아'의 2023년 매출액은 1조 456억 원으로 전년(9,295억 원) 대비 12.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120억 원으로 전년(3,238억 원) 대비 3.6% 소폭 하락했다. 아울러 지난해 디올의 국내 기부금은 전년보다 18.5% 오른 1,920만 원에 그쳤다. 디올의 최근 5년간 기부금은 ▲2018년 300만 원 ▲2019년 400만 원 ▲2020년 1080만 원 ▲2021년 1000만 원 ▲2022년 1620만 원 등으로 매출의 0.01%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크리스찬 디올의 이번 논란은 명품 브랜드들이 한국 시장에서 직면한 현실을 극명히 나타낸다. 또한, 단순히 매출과 판매에만 급급한 브랜드가 언제까지 신뢰를 얻으며 업을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한계도 보여준다.

이제 디올은 노동착취, 사회적 책임 부족, 가격 인상 등 여러 문제를 직시하고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 만약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디올은 더 이상 한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힐 수 없을 지도 모른다. 

곽중희 기자 rhkrwndgml@naver.com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1661-8995 사무소 :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620번지, 유진빌딩 3층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김용두 공식채널 SNSJTV (유투브,인스타그램 총 338만 구독.팔로워) | (주)아이타임즈미디어 김용두 월간 한국뉴스 회장, CEO : 이성용 | COO : 문순진 | 주)한국미디어그룹 | 사업자번호 873-81-02031 | 충북 청주시 흥덕구 풍년로 148, 7층(가경동)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