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3.06.03 (토)

  • 맑음동두천 15.4℃
  • 맑음강릉 17.6℃
  • 맑음서울 17.5℃
  • 맑음인천 17.0℃
  • 박무수원 14.2℃
  • 박무청주 17.9℃
  • 박무대전 16.1℃
  • 맑음대구 17.3℃
  • 박무전주 17.1℃
  • 구름많음울산 16.5℃
  • 박무광주 16.5℃
  • 맑음부산 18.3℃
  • 맑음여수 18.9℃
  • 구름조금제주 18.1℃
  • 맑음천안 15.0℃
  • 구름많음경주시 15.7℃
  • 맑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국제

박진 외교부장관, 아프리카의 날(5.25.) 기념 만찬 개최

2024년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외교부-주한아프리카외교단 공동협의위원회⌟ 출범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최형석 기자 | 외교부는 한·아프리카 재단, 한국무역협회(KITA) 및 주한아프리카대사단과 공동으로 5.25일 포시즌스 호텔에서 ‘아프리카의 날’을 기념하는 만찬을 개최했다.


이번 아프리카의 날 기념 만찬에는 존 마하마(John Mahama) 가나 前대통령, 안토니오 페드로(Antonio Pedro) 유엔아프리카경제위원회(UNECA) 사무총장대행, 사무엘 조나(Samuel Jonah) 조나캐피탈 회장, 주한아프리카대사단(비상주포함), 국회아프리카포럼 소속 의원,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원회 관계자 및 국내외 기업, 학계, 문화계 등 국내외 인사 160여명이 참석했다.


박 장관은 개회사에서 올해 60주년을 맞이한 아프리카의 날(5.25.)을 축하하면서, 아프리카 대륙이 다양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통합과 번영을 이룩해 나가고 있음을 높이 평가했다.


박 장관은 우리 정부가 출범 직후부터 대아프리카 외교 강화 기조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활발한 고위급 교류를 전개해 왔으며, 아프리카와 호혜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박 장관은 내년에 최초로 서울에서 개최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와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노력 또한 이러한 과정의 일환임을 설명하면서 참석자들의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금번 만찬 계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하기 위해, ⌜외교부-주한아프리카대사단 공동협의위원회(MOFA-AGA Joint Consultative Committee)⌟ 출범식도 개최됐다. 외교부는 이 위원회를 통해 주한아프리카대사단과 긴밀한 협의를 기반으로 내년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다.


이번 만찬 계기에는 한국과 아프리카 문화예술의 화합 공연도 진행됐다. 특히, 탄자니아 댄스배틀대회에서 우승한 비보이팀을 직접 초청하여, 한국의 세계적인 비보이크루 ‘퓨전엠씨’와 함께 콜라보 무대를 선보였으며, 부르키나파소 출신 안무가가 설립한 ‘쿨레칸’ 팀과 판소리 창작팀 ‘입과손스튜디오’의 콜라보 공연이 이루어졌다.


이번 만찬은 올해 ‘아프리카의 날’ 60주년을 기념하여 5.18.-31.간 진행중인 ‘아프리카 주간’의 일환으로 개최됐으며, 내년 개최될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내적으로 아프리카 전반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제고하고, 한-아프리카간 파트너십 강화 의지를 재확인한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뉴스출처 : 외교부]



배너
배너

가장 많이 본 뉴스


SNS TV

더보기

배너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박진 외교부장관,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예방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최형석 기자 | 박진 외교장관은 6.1일 오후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을 예방하고 양국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 장관은 우리 정부의 중앙아 중시 기조를 설명하고 중앙아 핵심 우방국이자 특별 전략적 동반자인 우즈베키스탄과의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길 희망했다. 이에 대해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한국 정부가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중앙아 중시 기조를 변함없이 견지해나가고 있는 것을 환영하며, 우즈베키스탄은 한국과의 관계 발전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고위급 교류를 포함하여 양국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 협력해나가자고 했다. 박 장관은 대규모 에너지(가스, 원전 등)·인프라(고속철도, 고속도로 등) 사업에 우리기업이 지속 참여하여 호혜적 경제협력을 강화해나갈 수 있도록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이에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한국 기업들의 투자와 참여를 적극 환영하면서 한국 기업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구체적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했다. 박 장관은 올해부터 시작되는 희소금속 상용화 사업 등을 통해 에너지·자원이 풍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