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기업, 중국 망홍을 통해 시장 개척
5월 7일 한국 수원시 매탄동 AK시티 쇼핑센터의 천후이센(陈慧娴, 27세) 중국인은 “1년에 한국에 7-8번 왔다.”며 “일반적으로 모두 초청을 받고 활동에 참가했다.”고 말했다.
그녀가 말한 ‘활동참가‘란 기업이 자기 회사 혹은 제품 홍보를 위해 거행하는 관광이다.
5월 24일 한국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천후이센은 미니블록과 위쳇에서 각기 74만과 17만 팬들을 소지한 영향력이 있는 블록주이다.
그녀는 “1천만 명이 미니블록과 미용 응용 등 10여 종 SNS를 통해 내가 쓴 문장을 본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천후이센과 같이 중국 SNS에서 높은 지명도와 영향력을 가진 중국 슈퍼급 블로거(博主)를 중국에서 ‘망홍(网红)’이라고 부르는데 그들은 일반적으로 50만 명을 초과한 팬들을 소지하고 있다.
갈수록 많은 한국 기업들이 중국시장에서 홍보를 진행함에 따라 ‘망홍’들이 ‘왕님’ 대우를 받고 있다.
애경그룹(爱敬集团)은 천후이센을 포함한 10명 망홍들의 방한을 초청하고 그룹 지사들이 5월 6일-9일 기간 한국에서의 활동참가 비용을 부담했다.
애경 그룹의 강영복 부장은 “10명의 미니 블록 팬 인수가 합계 500만 명이나 됐다. 그녀들이 활약하는 10개 인터넷 사이트 매일 조회수가 1.5억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망홍 체험 여행’이 2010년 롯데 백화점이 저명한 미용 블로거 워이단(Wei dan)과 워이칭(Wei qing) 자매의 방한 초청으로부터 시작됐다.
그 외 지난해 1월과 10월 각기 4명, 올해 2월에도 3명의 중국의 저명한 블로거들이 롯데 백화점 소공동점을 방문했다.
보도에 따르면 유통업체들이 중국 망홍을 주목하는 행동은 SNS의 입소문 마케팅을 통해 기업 혹은 제품의 지명도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롯데 백화점 관계자는 “중국사람들이 입소문을 매우 잘 믿는다. 지난해 10월말 한 저명한 불로거(博主)가 롯데 백화점 소공동 쇼핑 여행기를 썼는데 클릭수가 300만에 달해 인기가 폭등했다.”고 말했다.
입소문은 대가를 동반한다. 천후이센은 “내가 올린 문장 다수는 찬조 후원을 받고 발표한 것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남영 2AB 경영실장은 “망홍은 스타 종류의 ‘인기 판매 등급’, ‘의견리더’ 등 톱급 전문가 블로거, 그 다음은 A, B 급 망홍 등 4급으로 나눈다.”고 말했다.
김실장은 “의견 리더 급 망홍의 문장 한편 요금은 500만 원 한화에 달한다.”고 말했다.
김실장은 “우리가 장악한 망홍 인수는 2천명인데 그 중 300명이 한국기업들과 연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망홍 마케팅을 전개하는 한국 기업들은 이 조치가 내한 관광을 하는 관광객들의 쇼핑을 추진하며 관련 제품들이 중국에서의 판매도 추진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SNS 마케팅과 당지 판매액 증가 관련성이 아직 증명을 얻지 못했다.
애경그룹의 체험 관광에 참가한 화장품 전업의 블로거, 저우첸한(周倩晗, 29세) 망홍은 “한국 회사들이 인터넷 마케팅에 대해 매우 적극적이다. 나는 대개 20여개 한국 회사들의 제품 마케팅 초청을 받았다. 그러나 현실중 가짜 상품이 많으며 중국에서는 한국 제품을 구입하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