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근절이 힘든 중국의 하수구 기름

  • 등록 2017.06.06 21:01:11
크게보기

 중국 진룽위(金龙鱼) 공사 하수구 기름으로 식용유 제조

 6월 1일 니혼게이자이 신문망(日本经济新闻网)이 하수구 페기물 기름 금지난의 근본 원인에 대해 문장을 발표했다.

문장에 따르면 중국정부가 또 한번 ‘하수구 기름(地沟油)’에 대한 정리를 강화했는데 주요 조치로는 고발에 대해 상금을 주는 등이 포함됐다. 비록 중국이 서비스업을 진흥시키고 소비 품질을 제고하려 하지만 목표 실현을 가로 막는 식품 안전문제가 여전히 근절하기 쉽지 않다. 

2010년에 하수구 기름이 처음으로 엄중한 사회문제로 사람들의 시야에 들어왔다. 

중국 국무원이 ‘하수구 기름 정리와 식당 주방 폐기물 관리 강화에 관한 의견’을 발포하고 위법 범죄행위를 정면적으로 정리함을 선포했다.

7년이 지난후 국무원은 2017년 4월 후반 또 하수구 기름 정리 행동 진일보 강화할데 대한 의견’을 발포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정부는 음식업 기업, 행정 기업 사업단위 식당의 책임을 명확하게 하며 주방 페기물 수집 등 내용이 포함되며 관련 처리시설을 설치 혹은 외부기구에 의뢰하여 처리를 진행하며 주방 등 지역에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페기물 처리 과정을 기록하게 한다.

또 소형 식당에 대한 순시 강도를 강화하며 고발자에 대해 상금을 주는 제도도 포함되어 있다. 7년전에 비해 베이징과 상하이의 식당들이 선명하게 깔끔해졌다. 수입 제고 배경에 따라 노임층이 60,70위안을 내고 점심을 먹는 것도 더는 희한하지 않게 됐다.

그러나 국무원의 이번 사업의견은 빛발이 찬란한 도시 발전 배후에 여전히 비위생적인 식품 위협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과시했다.

하수구 기름이라는 이 원가 절약 위법행위의 배경은 장기간 중국 사회에 영향을 주는 빈부 격차문제이다. 국가 통계국의 4월말 숫자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농촌 외출노무공 인수가 동기 대비 1.5% 성장하여 2.8억에 도달했다.

비록 성장속도가 완화됐지만 인수가 여전히 증가세이다. 많은 외출 노무자들로 말하면 매일 60,70위안으로 한끼를 먹는 것이 불가능하다. 초저가 음식에는 사회수요가 존재하는데 하수구 기름도 이에 따라 발생하고 있다. 식품 안전 문제 본질은 사실상 핍박에 의해 위험 식품을 먹어야 하는 사람들이 지금도 대량으로 존재하는 사회 구조이다.

그리고 하수구 기름은 이 사회 모순의 한 측면에 불과하다.

국무원이 재차 하수구 기름 정리 사업 의견을 발포한 것은 정부의 문제 해결 결심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나 언제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철저하게 해결할지는 불가예측이다.


日本经济新闻网6月1日文章,原题:地沟油屡禁不止的根本原因  中国政府又加强了对“地沟油”的治理,主要措施包括有奖举报等。尽管中国希望振兴服务业提高消费质量,但阻碍实现目标的食品安全问题依旧难以根除。

2010年地沟油首次作为严重的社会问题走进了人们的视野。中国国务院发布了《关于加强地沟油整治和餐厨废弃物管理的意见》,宣告将从正面整治相关违法犯罪行为。7年后,国务院于2017年4月下旬又发布了《关于进一步加强“地沟油”治理工作的意见》。具体来说,政府要求明确餐饮企业、行政企事业单位食堂的责任,收集餐厨废弃物等,设置相关处理设施或委托外部进行处理,并要求在厨房等地设置监控摄像头,记录废弃物的处理过程。加强对小型餐饮店的巡查力度,建立有奖举报制度等也在其中。与7年前相比,北京和上海的餐厅明显变得更加整洁。在收入提高的背景下,工薪阶层花六七十元吃顿午饭也不再罕见。

然而,国务院此次发布的工作意见却显示出在光鲜的城市发展背后,仍有人面临不卫生食品的威胁。地沟油——这一节约成本的简单的违法行为——的背景是长期影响中国社会的贫富差距问题。据国家统计局截至4月底的数据,去年中国农村外出务工人数同比增长1.5%,增至2.8亿人。虽然增速放缓,但人数依然持续增加。对很多外出务工人员来说,每天花六七十元吃一顿饭是不可能的。超低价饮食存在社会需求,地沟油也随之悄然而至。食品安全问题的本质其实在于被迫忍受危险食品的人至今仍大量存在的社会结构。而地沟油只不过是这种社会矛盾的一个侧面。

国务院再次发布整治地沟油的工作意见,显示出政府解决问题的决心,但在何时以何种方式彻底解决问题仍然不可预测。

/新华网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일리연합 온라인뉴스팀 (전호성) 길림신문 기자 hidaily@naver.com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1661-8995 사무소 :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620번지, 3층 (삼성동)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김용두 월간 한국뉴스 회장 : 이성용 | 주)한국미디어그룹 | 사업자번호 873-81-02031 | 충북 청주시 흥덕구 풍년로 148, 7층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