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주최·주관사의 과실 여부와 건물 환풍구 시공업체와 관리 업체등의 부실 시공 및 관리 여부다.관련자들의 과실 여부를 가려 형사상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사고 발생 이레째인 23일까지 주관사인 이데일리·경기과학기술진흥원, 대행업체 플랜박스, 시공사인 포스코건설 및 하청업체, 자제 납품업체 등 2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또 사고 관련 담당자 32명을 불러 조사했고 11명을 출국금지 조치했다. 압수 대상을 놓고 분석하면 경찰 수사는 1차적으로 행사 주최·주관사에 대한 과실여부에 포인트가 맞춰져 있다.
경찰의 1차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현장에는 안전요원이 없었다. 서류상에만 안전요원 4명이 배치된 것으로 허위 기재됐고 정작 이들은 자신이 안전요원인 줄도 모른채 행사가 진행됐다. 행사 현장에는 이데일리 측 11명,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측 27명 등 안전교육을 받지 않은 직원 38명만 배치됐다.
또 환풍기를 등지고 설계된 무대가 이데일리 측의 요구로 관람 편의를 위해 환풍기를 바라보도록 변경된 사실도 확인했다. 관람객들이 공연 관람 편의을 위해 환풍구 위로 오를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도 별도의 안전대책은 세우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경기과기원의 내부 문건에서 관람 인원이 애초 안전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3000명 이상에서 2000여 명으로 축소 변경된 정황을 포착, 안전 관련 규정을 피하려고 고의로 축소했는지 여부도 조사 중이다.
경찰은 주관사 및 대행업체 담당 직원들에 대해‘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또 환풍구‘부실시공’여부를 가리기 위한 수사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지난 21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사고가 난 환풍구의 덮개 받침대 지지대가 하중을 얼마나 견디는지 현장실험까지 진행했다. 법적 하중 기준이 없지만 사고 당시 환풍구 위에 있던 27명의 합산 무게와 환풍구 덮개 받침대가 견디는 하중 등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이었다.
경찰은 환풍구 구조 및 설비 분석, 붕괴된 구조물 잔해 및 용접 감식, 하중실험 측정값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국과수의 감식 결과가 24일통보되면 이를 토대로 부실 여부를 가릴 방침이다.
하중실험 분석 결과는 오는 25일 공개한다. 또 압수한 자료를 분석해 설계대로 시공됐는지 정상 제품이 납품됐는지 여부도 확인 중이다.
설계 및 시공 과정에서 부실이나 환풍구 덮개와 받침대 등이 기준에 미달된 것으로 밝혀질 경우 시공·하청업체와 자재납품 업체 관계자 등도 사법처리 대상에 포함할 계획이다.
경찰은 건물 관리업체가 안전 관리 규정을 제대로 지켰는지, 적절한 안전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도 조사 중이다.
김병관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