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최근 4년 반 동안 승강기 사고로 36명 사망, 591명 중경상

  • 등록 2014.10.29 16:16:02
크게보기

- 매년 승강기 2만5천대 신규 설치, 검사인력 충원은 하세월

[국회 뉴스쉐어 = 이재현 기자] 최근 4년 반 동안 승강기 사고로 36명이 사망하고, 591명이 중경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조원진 의원(새누리당, 대구 달서병)이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승강기 종류별 사고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올해 6월까지 승객용 승강기에서 82건, 화물용 승강기 24건, 에스컬레이터 369건 등 총 475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매년 신규로 설치되는 승강기는 연평균 약 2만5천대에 달했다. 하지만 승강기 사고 예방을 위해 실시하는 사전안전점검 인력은 매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강기안전관리원의 경우, 전국 승강기 검사 중 점유율 65%를 차지해 매년 신규 승강기 검사를 추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마다 20명 정도씩 인력 충원이 필요한 상태다.
 
현행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에서는 한 해에 1인당 수행 가능한 검사대수를 제한하고 있어 완성검사의 경우 600대, 수시검사 600대, 정기검사 800대만 검사 가능하다. 사실상 800대가 최대 검사수량인 것이다.
 
이 때문에 검사인력 층원이 신규 승강기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부실검사를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조원진 의원은 “최근 검사기준이 개정되어 검사항목이 예전보다 2.5배 증가했다”면서 “매년 신규 승강기 수요도 급증하고, 검사시간도 늘고 있는데 반해 검사 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검사 인력이 부족하면 적기에 검사를 하지 못해 검사가 지연되고, 결국 부실검사를 초래하게 된다”며 “검사 인력을 제때 충원하면 결국 검사료 수입이 늘어 인건비 충당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용 신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승강기 종류별 사고현황>
(단위 : , 2014.6.30기준)
발생년도
승객용
화물용
에스컬레이터
2010
129
13
7
109
2011
97
15
5
77
2012
132
21
6
105
2013
88
25
4
59
2014.6월말
29
8
2
19
합계
475
82
24
369
 
 
<피해정도별 승강기 사고현황>
(단위 : , 2014.6.30기준)
발생년도
사망
중상
경상
2010
176
10
130
36
2011
122
5
82
35
2012
170
12
116
42
2013
130
7
83
40
2014.6월말
29
2
27
0
합 계
627
36
438
153
(비 율)
 
(6%)
(70%)
(24%)
 
<최근 5년간 승강기 검사인력 현황>
(단위 : , 각 연도말, 2014.8.31 기준)
연도
정규직
비정규직
2009
383
36
419
2010
381
38
419
2011
385
60
445
2012
387
67
454
2013
405
65
470
2014.8
398
88
데일리연합뉴스팀 기자 hidaily@naver.com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0505-831-7000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529, 5층 5346호 (역삼동)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김용두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