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박원상 교수팀은 위 점막 상피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개스트로카인1(Gastrokine1)'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에 의한 위암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1 국가암 등록 통계’에 따르면, 위암은 우리나라 성인 남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 발생률 1위를 차지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위 점막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되면 독성물질인 '캐그A(CagA)'를 분비해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를 만들어내고 유전자들의 변이를 유도한다. 또 점막상피세포가 증식하고 세포사멸은 억제되는 만성 위염 과정을 거쳐 일부는 위암으로 악화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세포실험에서 개스트로카인1 단백질을 과발현시킨 여러 세포주(AGS, MKN1, MKN28, HFE-145)에 독성물질을 주입했다.
그 결과 활성산소 생성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은 물론 유전자 변이와 세포 증식, 세포 침식도 억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감염시킨 쥐와 인체의 위 점막 조직에서도 이와 같은 효과가 관찰됐다.
박원상 교수는 "개스트로카인1이 인체에서 자연 생성되는 단백질인 만큼 항암제로 개발할 경우 부작용이 없는 위암 치료제는 물론 위암 발생 억제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칼시노저네시스(Carcinogenesis․발암)'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국윤진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