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원전 사이버공격, 형태와 강도는

  • 등록 2014.12.29 11:19:18
크게보기


중단된 듯하던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원전 안전에 대한 우려가 논란이 되고 있다.

원전 운영사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사이버 공격을 행정 업무를 교란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강화된 보안 시스템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석 한수원 사장은 이날 서울 삼성동 한수원 본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원전 자료 유출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함께 "한수원의 업무 행정망에 대한 일상적인 사이버 교란은 지금도 나타나고 있다"며 "구체적인 공격 형태나 방어 방식을 공개하기는 어려우나 지금까지 행태를 분석해보면 행정업무를 교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원전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수사를 통해 확인된 날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건을 수사 중인 개인정보범죄 정보합동수사단에 따르면 이번 사건과 관련한 첫 사이버 공격이 있었던 지난 9일 5천980통의 악성코드를 담은 이메일이 한수원 직원들에게 발송됐다.

이어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 동안 6통의 악성코드 이메일이 추가로 발송된 사실도 나타났다.

이후 이어지는 사이버 공격의 강도는 조 사장이 '일상적인 사이버 교란'이라고 언급한 점을 감안할 때, 9일의 대규모 사이버 공격보다는 약하고 평소 수준을 크게 넘어서지는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 사장은 "사이버 공격이 계속되고 있지만 안전하게 방어하고 있다"며 "원전의 안전을 100% 보장한다"고 말했다.

특히 사이버 공격이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업무망(내부망)과 인터넷망(외부망)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어도, 이와 차단된 원전 제어망에는 접근할 수 없어 원전 운영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원전반대그룹은 지난 15일, 18일, 19일, 21일, 23일 다섯 차례에 걸쳐 한수원 임직원 연락처, 원전 도면, 원전 프로그램 등의 원전 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공개했다. 9일 한수원에 대한 사이버 공격도 이들의 소행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는 9일 공격 때 유출된 것이 아닌 것으로 합수단과 한수원은 파악하고 있다.

원전반대그룹은 크리스마스(25일)부터 석달 동안 고리 1, 3호기와 월성 2호기 등 원전 3곳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유출 자료 10여만장을 추가로 공개하고 2차 파괴를 실행하겠다고 경고했다.

정부와 한수원은 24일 오후부터 서울 본사 종합상황실과 고리·월성·한빛·한울 등 4개 원전본부에 3개조로 비상상황반을 꾸리고 24시간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으며 31일 자정까지 유지할 방침이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남성현 기자 기자 hidaily@naver.com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0505-831-7000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529, 5층 5346호 (역삼동)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