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세계 보도망 확충 전 세계 6억 5000만뷰 송출망 확보!

[이강훈 칼럼] AI 패권 시대, 국가대표 AI 언어모델로 세계를 선도하자!

  • 등록 2025.02.27 15:28:45
크게보기

미국과 중국의 AI 패권 시대, 대한민국의 선택은?
왜 대한민국의 AI 언어모델이 필요한가.

● 이강훈 AI 칼럼 관련 시리즈

[이슈분석] 딥시크가 이끈 LLM 대격변.. “논문 봤더니?!”

[이슈] 정부-기업, '딥시크 사용 금지령'... 정보 유출 우려

[이슈] 딥시크, 위조 계정·허위 정보 주의 당부…각국 차단 조치 속 첫 공식 입장
[이강훈 칼럼] '딥시크와 챗GPT' 열풍... 생성 AI, 미래의 핵심 경쟁력은?

[이강훈 칼럼] 딥시크 충격, 소형 범용 모델이 AI 산업 이끈다

[이슈분석] 한국은 왜 ‘딥시크’ 못 만드나?

[이강훈 칼럼] 한국형 AI 인력 10만 양성, 가능할까?
[이강훈 칼럼] 국가 주도 AI 펀딩 : 스타트업·국민·국가가 함께 가는 길
[이강훈 칼럼] 대한민국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 ‘원팀'이 필요하다

[이강훈 칼럼] 초거대 AI 시대, 지속 가능한 모델 필요.. 최선은 '오픈랩'

[이강훈 칼럼] AI 패권 시대, 국가대표 AI 언어모델로 세계를 선도하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강훈(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및 주식회사 퀀텀아이 대표) 기고, 곽중희 기자 편집 | 오늘날 인공지능(AI)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선도하는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에서,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미국과 중국의 AI 패권 시대, 대한민국의 선택은?

 

단순히 AI 기술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다. 'K-AI', 즉 한국형 AI 언어모델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길이다.


AI 언어모델의 핵심은 신뢰성과 문화적 적합성이다.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높은 교육 수준과 독창적인 문화 콘텐츠를 보유한 나라다. BTS, K-드라마, K-푸드 등 한류 열풍은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AI가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을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미국과 중국의 AI는 자국의 가치와 철학을 반영하지만, 대한민국의 AI는 홍익인간 정신과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문화적 가치를 담을 수 있다. 윤리적이고 신뢰도 높은 언어모델을 개발한다면, 한국의 AI는 미국과 중국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더 높은 수용도를 가질 가능성이 크다.

 


왜 대한민국의 AI 언어모델이 필요한가?

 

  • 데이터 주권 확보

    미국과 중국의 AI 모델을 그대로 도입하면, 한국의 데이터가 해외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형 AI 언어모델을 개발하면 대한민국의 데이터 주권을 지키면서도, 국내 기업과 산업에 최적화된 AI를 구축할 수 있다.

 

  • 글로벌 AI 시장에서의 차별화

    미국과 중국의 AI는 강력하지만, 문화적 편향성과 윤리적 이슈가 종종 제기된다.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고도의 윤리적 사고와 높은 교육 수준을 유지해온 나라로, 이를 반영한 AI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 K-콘텐츠와의 시너지

    K-드라마, K-팝, K-게임 등 대한민국의 콘텐츠 산업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 여기에 한국형 AI가 결합되면, 새로운 AI 기반의 콘텐츠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AI 전략: From Korea to Global

 

  • 한국어에 최적화된 AI 언어모델 개발


대한민국의 언어적,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AI 모델을 구축하여, 한국 시장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및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확장해야 한다.

 

  • AI 윤리 및 신뢰성 강화


한국형 AI는 투명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AI의 공정성과 윤리성을 보장하는 기술과 정책을 도입하여, 글로벌 AI 시장에서 신뢰받는 브랜드로 자리 잡을 필요가 있다.

 

  • K-콘텐츠와 결합한 AI 생태계 조성


대한민국의 강점인 문화 콘텐츠와 AI 기술을 결합하여, AI 기반 콘텐츠 생성, AI 아바타, AI 번역 등 다양한 AI 산업을 확장해야 한다.

 

  • 국제 협력 및 AI 수출 전략 강화


한국형 AI 모델을 아시아, 유럽, 중동 등 다양한 국가로 확장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AI 외교 및 협력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AI 강국 대한민국, 다시 위대한 도약을 준비하자


대한민국은 이미 반도체, IT, 배터리, 콘텐츠 산업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나라다. 이제는 AI 언어모델 기술을 기반으로, AI 강국으로 도약할 때다. 대한민국만의 문화적 DNA를 반영한 AI를 개발하고, 신뢰성과 윤리를 갖춘 AI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 도전해야 한다.


From Korea to Global, 다시 위대한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AI 기술이 전 세계를 선도하는 그날을 위해, 이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때다.


■ 기고 l 이강훈 (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및 주식회사 퀀텀아이 대표)

 

 

기고인 이강훈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인공지능연구소는 2018년 4월 19일에 설립되어, 인공지능 기술의 연구와 대중화를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이 소장은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주식회사 퀀텀아이도 운영하고 있다. 

 

 

곽중희 기자 god8889@itimesm.com







데일리연합 | 등록번호 : 서울 아02173 | 등록일 2008년 7월 17일 | 대표전화 : 1661-8995 사무소 :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620번지, 3층 (삼성동) | 발행인 : (주)데일리엠미디어 김용두 월간 한국뉴스 회장 : 이성용 | 주)한국미디어그룹 | 사업자번호 873-81-02031 | 충북 청주시 흥덕구 풍년로 148, 7층 모든 컨텐츠와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