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과 어깨 통증과 함께 만성두통이 있다면 목 디스크를 의심해봐야 한다.
목 디스크는 7개의 목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 사이로 내부 수핵이 튀어나오면서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이 늘면서 젊은 층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장시간 책상 앞에 앉아 컴퓨터를 하는 사무직 종사자는 목 디스크를 비롯한 경추(목등뼈)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집중해서 컴퓨터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고개를 앞으로 내밀게 되며, 이는 목과 어깨 근육을 긴장시켜 일자목을 유발할 수도 있다.
구로예스병원 성현석 원장은 "머리를 지탱하고 있는 경추는 충격 흡수를 위해 C자형 모양인데, 장시간 고개를 내밀거나 숙인 자세를 유지하면 목뼈가 일자 모양으로 변형된다"며 "바르게 서 있어도 경추에 가해지는 무게는 5㎏에 달해 고개를 숙일수록 경추에 가해지는 부담은 커져 목 디스크로 이어지거나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목 디스크가 생기면 신경을 눌러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 목과 어깨 통증은 물론, 팔이나 손이 저리기도 하며 두통이나 울렁거림이 나타날 수 있다. 만약 팔에 힘이 빠지고, 마비 증세까지 발생한다면 병원의 정확한 진단이 시급하다.
또한 겨울철에는 기온이 내려가 근육과 인대가 수축해 목덜미가 뻐근해지면서 경추 질환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성현석 원장은 "목을 앞으로 숙일 때보다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하면 목 디스크를 의심해볼 수 있다"며 "평소 바른 자세와 생활 습관으로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고개를 지나치게 숙이지 말고, 컴퓨터를 할 때는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게 사용하거나 눈높이보다 높이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