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최민준 기자(영상,기사) | 인천 계양구에 위치한 서송병원이 휠체어 무상 점검 및 수리 서비스를 시작하며, 재활환자들의 이동권 보장에 나섰다. 이 캠페인은 휠체어 고장으로 치료나 외래 진료를 중단해야 했던 환자들에게 치료 접근성을 회복시켜주는 중요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서송병원은 지정된 날짜에 외부 전문업체와 협력하여 휠체어의 브레이크, 바퀴, 프레임 등을 점검하고 수리한다. 이 서비스는 병원 내 비치된 휠체어뿐만 아니라, 환자 개인이 보유한 기기에도 확대 적용된다.

“동행의 시작은 이동권에서”
서송병원 측은 이번 서비스가 단순한 복지 제공을 넘어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병원 관계자는 "휠체어 하나를 고쳐드렸을 뿐인데 환자분이 다시 외래를 방문하셨습니다. 치료는 병원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병원에 가는 것이 바로 의료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병원 자체 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6명 이상이 휠체어를 주요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절반가량이 고장 상태로 방치된 경험이 있었다. 이동 불편은 결국 진료 중단으로 이어지며, 치료의 연속성을 저해한다.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돈 걱정에 그냥 타고 다녔는데 병원에서 고쳐주니 몸도 마음도 편해졌다"는 피드백과 함께, 90% 이상이 서비스를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작은 고침’이 만든 ‘큰 동행’
서송병원의 동행서비스 캠페인은 휠체어 수리뿐만 아니라 심리 정서 프로그램, 복약 지도 서비스 등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아우르는 지원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병원 측은 이 모델을 지역사회 복지기관과 연계하여, 외부 취약계층까지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서송병원 관계자는 "이동을 보장하는 것은 일상을 지키는 일이며, 병원이 환자에게 해줄 수 있는 일은 그보다 훨씬 넓고 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