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기업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에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달리 ESG 경영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자금력과 인력 부족은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에 가장 큰 걸림돌이다. ESG 경영을 위해서는 환경 개선, 사회적 책임 이행, 지배구조 개선 등에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금력이 부족하여 이러한 투자를 감당하기 어렵다. 또한, ESG 경영 관련 전문 인력도 부족하여 전문적인 컨설팅이나 교육을 받기 어렵다.
정부의 지원 부족도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제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지원 대상이나 지원 규모가 제한적이고, 절차가 복잡하여 중소기업이 지원을 받기 어렵다. 또한, 정부 지원이 단기적인 성과에 치우쳐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원이 부족하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은 ESG 경영 도입을 통해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투자 유치를 용이하게 하며,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중소기업들은 자체적인 노력과 함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ESG 경영을 도입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
앞으로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을 위한 정부의 지원 확대와 함께, 중소기업 스스로의 노력도 중요하다. ESG 경영 도입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전문 인력 양성 및 자금 조달 방안 마련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ESG 경영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닌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은 자금력과 인력 부족, 정부 지원 부족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해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정부와 중소기업 모두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력을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ESG 경영을 성공적으로 도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