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인터넷 음란물 전담반을 만든다.
방통심의위는 15일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성매매·음란정보에 대해 이용자들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이를 근절하고자 상반기에 ‘음란물 전담반’을 구성, 운영할 방침”이라며 “불법·유해정보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방통심의위가 지난해 8월14~22일 인터넷 이용자 만 10세 이상 전국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6.9%가 ‘성매매·음란 정보’를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매매·음란 정보’는 여자(19.6%)보다 남자(33.5%), 19~39세(30.9%)에서 많이 접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0~18세에서도 23.0%나 됐다.
불법·유해정보를 접하는 주요 경로는 스팸메일이 44.9%로 가장 많았다. 포털사이트 카페·블로그가 38.4%, 인터넷 팝업·배너 광고가 34.1%,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가 33.5% 등으로 집계되며 뒤를 이었다.
응답자 81.5%는 성매매·음란 정보의 유통 실태가 ‘매우 심각하다’거나 ‘약간 심각하다’고 답했다. 도박 등 사행성 정보는 76.5%, 권리침해 정보는 64.4%, 불법 식·의약품 정보는 58.1%, 기타 법령위반 정보는 52.7%였다.
한편, 방통심의위는 이날 ‘2014 인터넷 불법·유해정보 실태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방통심의위는 이 보고서를 통신심의와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