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한덕수 국무총리, 베트남 구회부의장 접견

"부산 엑스포 지지 당부"
"공급망, 에너지 전략적 협력 강화"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창주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는 3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응우옌 득 하이(Nguyen Duc Hai·) 베트남 국회부의장을 만나 한-베트남 양국관계 발전과 분야별 협력 증진방안을 논의했다고 총리실이 전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992년 베트남과의 수교이래 전 분야에서 모범적인 협력 관계로 발전해온 양국관계를 평가하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격상 등 지난해 12월 한-베트남 정상회담 성과의 충실한 이행으로 양국관계가 더욱 심화·발전하도록 협력하자"라고 제안했다.

 

이어 “양국 관계가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만큼 그에 걸맞은 공급망, 디지털, 에너지, 방산 등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라며 “우리의 최대 개발 협력 파트너인 베트남과의 개발 협력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응우옌 득 하이 부의장은 한 총리의 환영에 감사함을 표하며 베트남 국회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의 성공적인 발전과 한-베트남 정상회담 성과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또 “코로나19 상황에서 베트남 교민을 위한 한국의 지원과 교민 및 다문화가정을 위한 지원제도에 감사하다”라며 “경제·안보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에 더하여 첨단기술·과학·문화·국제이슈 등 분야에서도 협력해 나가기를 희망한다”라고 덧붙였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베트남 진출 한국 기업들의 원활한 활동 여건 조성해달라고 부탁했다. 특히 한국 금융기관의 베트남 추가 진출, 베트남 내 한국인에 대한 노동 허가 발급 원활화, 현지 우리 기업 지원 등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 달라고 요청했다.

 

응우옌 득 하이 부의장은 “베트남 내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경제발전에 많은 이바지하고 있다”며 “베트남 내 한국 기업과 한국인들의 원활한 활동을 위한 여건 조성에 베트남 국회로서도 관심을 두고 노력하겠다”라고 답했다. 또 한 총리의 2030부산세계박람회 지지 당부에 대해서도 “베트남 정부가 한국의 요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을 요청하겠다”라고 힘을 실어줬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장성군 ㈜고려시멘트 건동광산 개발에 ‘LS그룹’ 나섰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폐광 예정인 ㈜고려시멘트 건동광산에 데이터센터를 조성하는 장성군의 중장기 프로젝트 추진이 탄력을 받게 됐다. 군은 20일 군청 상황실에서 ㈜석세스뱅크장성, LS일렉트릭㈜, LS사우타㈜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김한종 장성군수, 전재연 ㈜석세스뱅크장성 대표이사, 정현만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 팀장, 박우범 LS사우타㈜ 대표 등 관계자들이 협약식에 참석했다. 건동광산은 ㈜고려시멘트가 2006년 전라남도 인가 이후 꾸준히 운영해 온 석회 광산이다. 2023년 8월 장성군과 ㈜고려시멘트 측이 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로 뜻을 모으면서 발길이 끊어졌다. 이후 ㈜고려시멘트는 2024년 11월 군과 업무협약을 맺고 폐광·광업권 말소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건동광산을 장성군에 기부채납하기로 했다. 현재 ㈜강동씨엔엘에서 폐광을 위한 광해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첨단산업의 운영·발전에 필수적인 전산 데이터 관리시설이다. 서버 등을 가동할 때 발열량이 상당하다 보니,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지방 분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