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경상북도개발공사가 '생성형AI 활용 보고서 작성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업무에서 생성형AI를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역량을 키우고, 우수사례의 발굴 및 공유 등 공사 내부의 AI도입·활용 확대를 위한 취지로 개최됐다. 경진대회에 참여한 직원들은 다양한 종류의 생성형AI를 직접 활용하여 개인별로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이 과정에서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세부적 조건을 부여하는 등 생성형AI의 기능을 적극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도구 활용능력을 함양하는 기회를 가졌다. 예시로, 이번에 대상을 수상한 '2026년 경영평가 대응 경영실적 점검계획'의 경우, 생성형AI를 활용하여 구조 및 목차를 도출하였으며 '공공기관과 연관성이 높은 새정부 국정방향 분류 및 대응방안 도출, 유관기관의 주요 핵심성과 요약 및 공사 적용방안 제시' 등 보고서 작성의 첫 걸음인 구조 작성부터 결론 도출까지, 전체 작성과정에서 생성형AI를 적재적소 활용했다. 공사는 이번 경진대회를 포함해 디지털 전환 및 AI 활용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노사 공동으로 개최한 ‘ChatGPT 경진대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경상북도개발공사가 생성형AI 기반 챗봇 서비스를 사내 업무시스템에 구축했다. '챗봇 서비스'는 사내 규정 등에 대해 학습한 AI가 업무처리 절차나 준수사항 등 관련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해주는 생성형AI 기반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반의 일하는 문화' 구축을 위해 해당 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사내 업무포털을 통해 직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공사는 해당 챗봇 서비스 도입을 시작으로, 디지털 기술 도입을 통한 업무 생산성 향상을 이뤄내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챗봇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면, 사용자는 AI를 통해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답변의 정확한 근거를 파악하기 위한 출처 역시 제공 받는다. 또한, 일반 질의응답 및 이미지 생성 기능 등 다양한 기능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업무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생성형AI 시스템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공사는 인공지능 전환을 위해 ▲생성형AI 시스템 구축 ▲생성형AI 경진대회 개최 ▲생성형AI 실습교육 ▲전직원 생성형AI 도서 배부 등 다양한 정보화 활동을 추진했으며, 올해 역시 임직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