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북

전라북도 글로벌강소기업 삼일산업 산업통상자원부 신제품(NEP) 인증

- 전북도 성장사다리 기업, 산업부 NEP 인증 쾌거
- 세계 최초 신제조 기술…모듈타입 완전용접식 판형 열교환기 개발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수준 기자 | 전라북도의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육성체계가 또다시 빛을 발했다.

 

전라북도와 (재)전북테크노파크는 전라북도 성장사다리 글로벌 강소기업인 삼일산업이 세계 최초 신제조 기술인 ‘모듈타입 완전용접식 판형 열교환기’를 개발하여 산업통상자원부 NEP(NEW EXCELLENT PRODUCT) 인증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NEP(NEW EXCELLENT PRODUCT)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기술 또는 이에 준하는 대체기술로서 혁신적인 개선·개량 기술을 적용해 실용화가 완료된 제품 중 성능과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인증하는 제도다.

 

글로벌 강소기업인 삼일산업은 2018년 스타기업 지정됐다. 이후 지원사업을 통해 역량을 키워온 결과 2020년 스타기업 조기졸업하고 동시에 글로벌 강소기업에 선정되는 등 이례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강소기업에 선정된 삼일산업은 전북테크노파크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지역자율프로그램’의 공정개선 지원 분야를 통해 2020년~2021년 회사의 제조생산라인의 생산성 향상(460%), 원가절감(-31%), 불량감소(100%)를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이는 기업이 지속적인 R&D에 투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다.

 

삼일산업은 현재 내압성이 향상된 판형 열교환기와 관련된 국내·외 특허 및 원천기술로 LG전자, 귀뚜라미, 월드에너지, 파나소닉 등 국내·외 메이저 기업과 거래하며 건실하게 성장 중이다.

 

이번에 인증받은 ‘모듈타입 완전용접식 판형 열교환기’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청신호를 켜줄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또한, 기존 냉동공조 기기에 적용되는 열교환기 시장을 탈피해 조선 플랜트, 발전소, 화학공장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일산업 조형석 대표는 “전라북도 글로벌 강소기업이라는 자부심과 전라북도의 전방위적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인 R&D를 통해 이와 같은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고, 향후에도 전라북도와 함께 도내 산업구조를 혁신적으로 전환하는 데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장성군 ㈜고려시멘트 건동광산 개발에 ‘LS그룹’ 나섰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폐광 예정인 ㈜고려시멘트 건동광산에 데이터센터를 조성하는 장성군의 중장기 프로젝트 추진이 탄력을 받게 됐다. 군은 20일 군청 상황실에서 ㈜석세스뱅크장성, LS일렉트릭㈜, LS사우타㈜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김한종 장성군수, 전재연 ㈜석세스뱅크장성 대표이사, 정현만 LS일렉트릭㈜ 데이터센터 팀장, 박우범 LS사우타㈜ 대표 등 관계자들이 협약식에 참석했다. 건동광산은 ㈜고려시멘트가 2006년 전라남도 인가 이후 꾸준히 운영해 온 석회 광산이다. 2023년 8월 장성군과 ㈜고려시멘트 측이 공장 가동을 중단하기로 뜻을 모으면서 발길이 끊어졌다. 이후 ㈜고려시멘트는 2024년 11월 군과 업무협약을 맺고 폐광·광업권 말소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건동광산을 장성군에 기부채납하기로 했다. 현재 ㈜강동씨엔엘에서 폐광을 위한 광해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첨단산업의 운영·발전에 필수적인 전산 데이터 관리시설이다. 서버 등을 가동할 때 발열량이 상당하다 보니,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지방 분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