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전국공통

이영기, ‘KPGA 레전드 클래식 시리즈 3’에서 시즌 첫 승 신고… KPGA 챔피언스투어 통산 4승 달성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기자 | 이영기(57)가 ‘KPGA 레전드 클래식 시리즈 3(총상금 1억 5천만 원, 우승상금 2천 4백만 원)’에서 시즌 첫 승을 신고했다.

 

이영기는 26일과 27일 양일간 전북 군산 소재 군산CC 전주, 익산코스(파72. 6,807야드)에서 열린 본 대회 첫 날 보기 없이 이글 1개, 버디 3개로 5언더파 67타를 기록하며 선두에 3타 차 공동 3위에 자리했다.

 

대회 최종일 이영기는 보기 1개를 범했지만 버디 7개를 잡아내는 쾌조의 경기력을 뽐내며 이날만 6타를 줄여 최종합계 11언더파 133타로 1타 차 짜릿한 우승에 성공했다.

 

우승 후 이영기는 “오랜만에 우승을 해 기쁘다. 2021년 다승을 한적이 있는데 그 때의 샷감을 되찾은 것 같다” 며 “특히 최종라운드 경기 중 16번홀(파4)에서 티샷 실수가 나와 보기를 했는데 다음 홀인 17번홀(파3)에서 버디로 바운스 백에 성공한 것이 우승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던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지난 대회였던 ‘KPGA 레전드 클래식 시리즈 2’ 1라운드에서 김종덕 선수와 함께 플레이했다. 당시 퍼트가 정말 좋지 않았고 김종덕 프로가 조언을 해줬다. 그 조언의 효과 덕인지 이번 대회서 퍼트가 상당히 잘 됐다”며 “여러 동료 선수들도 도움을 줬는데 이 자리를 통해 고마움을 전한다”는 소감을 밝혔다.

 

2017년 시니어투어에 데뷔한 이영기는 이번 우승으로 약 3년만에 승수를 추가해 KPGA 챔피언스투어 통산 4승째를 기록하게 됐다. 이영기는 2018년 ‘골프존 채리티 제23회 한국시니어 오픈 골프선수권대회’, 2021년 ‘케이엠제약 시니어 오픈’, 그 해 ‘제9회 KPGA 그랜드CC배 시니어 오픈’에서 우승한 바 있다.

 

공동 2위는 손동주(56)와 일본의 미나미자키 지로(54)가 차지했다. 미나미자키 지로는 지난해 KPGA 챔피언스투어 최종전 ‘MAYFLOWER GOLF CLUB INVITATIONAL’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국내 시니어투어에서 활동하고 있다.

 

같은 장소 김제, 정읍코스(파70. 6,240야드)에서 펼쳐진 만 60세 이상의 선수들이 출전하는 그랜드 시니어부문(총상금 5천만 원, 우승상금 7백 5십만 원)에서는 이틀간 최종합계 6언더파 134타를 기록한 김정국(66.미국)이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21년 ‘KPGA 챔피언스투어 1회 대회’ 그랜드 시니어부문 우승에 이은 2승째다.

 

이용군(69)과 유건희(66)가 최종합계 5언더파 135타 공동 2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한편 다음 달 3일부터 5일까지 충남 태안 소재 솔라고CC 솔코스에서는 KPGA 챔피언스투어 최고 권위의 대회인 ‘제28회 KPGA 시니어 선수권대회’가 진행된다. 4일부터 5일까지 라고코스에서는 그랜드 시니어부문 대회인 ‘제25회 KPGA 그랜드 시니어 선수권대회’도 열린다.

 

‘제28회 KPGA 시니어 선수권대회’와 ‘제25회 KPGA 그랜드 시니어 선수권대회’는 KPGA 주관 방송사인 SBS골프2를 통해 1, 2라운드는 오후 2시부터 오후 5시까지 최종라운드는 낮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생중계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층 디지털 소외 심화, 사회적 연대 강화로 해결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현재,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되고 키오스크,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필수가 되면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권리마저 침해받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고립과 정보 접근성 불평등을 야기하며, 시급한 사회적 논의와 해결책 마련이 요구된다. 디지털 소외는 고령층의 건강, 금융, 복지 등 삶의 질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진료 예약, 모바일 뱅킹, 정부 지원금 신청 등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디지털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노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장벽을 느낀다. 또한, 비대면 소통 방식의 확산은 가족 및 사회 구성원과의 단절을 심화시켜 심리적 외로움과 고독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키오스크 체험존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일회성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