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1 (금)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5.4℃
  • 맑음서울 1.0℃
  • 맑음인천 2.4℃
  • 맑음수원 -0.7℃
  • 맑음청주 3.2℃
  • 맑음대전 1.7℃
  • 맑음대구 5.7℃
  • 맑음전주 3.2℃
  • 구름조금울산 4.8℃
  • 맑음광주 5.3℃
  • 맑음부산 6.8℃
  • 맑음여수 7.3℃
  • 구름많음제주 12.7℃
  • 맑음천안 -0.5℃
  • 맑음경주시 5.4℃
  • 맑음거제 6.3℃
기상청 제공

대구

[문화] "주한 미군 존슨의 눈에 비친 대구, 1953~55년"

대구근대역사관 2023년 첫 번째 기증 유물 작은 전시 개최, 캐롤린 존슨이 기증한 1950년대 사진을 통해 한국전쟁 직후 대구의 생활문화 소개, 기증 유물의 의미와 유물에 얽힌 기증자의 사연 등을 함께 소개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홍종오 기자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박물관운영본부 소속 대구근대역사관은 3월 2일~4월 30일까지 역사관 1층 명예의 전당 앞에서 '주한 미군 존슨의 눈에 비친 대구, 1953~55년' 기증 유물 작은 전시를 개최한다.

 

대구근대역사관에서는 기증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고 소장 유물을 소개하고자 지난 2022년부터 기증 유물 작은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5회 개최했다. 2023년 올해 첫 번째 기증 유물 작은 전시는 1950년대 초반 대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전시로 꾸몄다.

 

지난 2018년 미국 휴스턴에 거주하는 캐롤린 존슨(Carolyn G. Johnson)은 고인이 된 남편 제임스 존슨(James Johnson)이 1953~1955년 대구비행장(K2)에서 군인으로 근무할 때 찍은 사진 100여 점을 대구근대역사관에 기증했다.

 

제임스 존슨은 주한 미군으로 근무하면서 대구 여러 곳을 다니며 거리와 사람들의 생활 모습 등을 카메라에 담았다. 존슨의 사진들은 장소가 어디든 항상 사람이 중심에 있는데, 군인·경찰관·지게꾼·상인·아이들·여성 등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은행·대구역·극장·대웅전 등 당시 대구의 건물들도 담겨 있다.

또한 당시 어린이들의 대표 간식이자 놀잇감이었던 '달고나'와 '물방개 뽑기'가 사진에 남았고, 대구의 명물인 능금과 건어물을 팔고 있는 모습 등 대구 사람들의 평범한 하루가 사진에 담겨 있다. 이렇게 존슨의 사진에서는 1950년대 대구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과 거리, 건물 등을 만날 수 있다. 그 건물의 현재 위치가 어딘지, 어떻게 바뀌었는지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신형석 박물관운영본부장은 "전시실에 오셔서 존슨의 눈에 비친 1950년대 대구로, 지금은 사라진 아련한 추억 속으로 시간 여행을 떠나 보시기 바라며, 앞으로도 기증 유물을 통해 기증자의 소중한 가치를 나누고, 유물에 담긴 대구 역사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함께 공유하고자 하니 유물 기증(기증 문의: 053-606-6434)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근대역사관은 <지도가 알려주는 경상감영慶尙監營과 대구읍성大邱邑城> 작은 전시를 2층 기획전시실 앞에서 지난 1월 31일부터 개최하고 있다. 대구 고지도와 근․현대 지도, 사진을 활용한 전시로, 대구 근대로의 변화과정에 큰 사건인 경상감영과 대구읍성의 철거, 그리고 그 공간의 변화과정을 지도 속에서 살펴볼 수 있다.

 

대구근대역사관은 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박물관운영본부는 작년 말부터 대구근대역사관을 비롯하여 대구방짜유기박물관(제1종 전문박물관)과 대구향토역사관(제2종 박물관)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권기창 시장, 시정연설서 2026년 안동시 청사진 밝혀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권기창 안동시장은 11월 20일 열린 제263회 안동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민선 8기 3년간의 성과를 정리하고, 2026년 안동이 나아갈 새로운 시정 비전을 제시했다. 권 시장은 연설 서두에서 “지난 3월 대형 산불은 우리의 푸르른 숲과 삶을 덮쳤다. 산림은 불타고 집들이 잿더미로 변해, 하루아침에 보금자리를 잃고 깊은 슬픔에 잠겼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절망의 순간에도 우리는 혼자가 아니었다. 전국 각지에서 달려온 구호대와 자원봉사자의 따뜻한 손길, 그리고 무엇보다 안동시민 여러분의 연대가 있었기에 다시 희망의 싹을 틔울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많은 시련에도 불구하고, 올 한 해 안동시는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 안동시는 올해 공약사업 이행률 74%를 달성하며 3년 연속 전국 공약이행평가 최우수(SA) 등급을 받았다. 또한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도 최우수상을 받아 공약 이행의 신뢰성과 행정력을 인정받았다. 재정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 2017년 예산 1조 원 시대 개막 이후 8년 만에 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