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대구

대구시, '중동의 아마존' 눈닷컴과 전략적 제휴...'중동진출 교두보' 마련

눈닷컴과 MOU 체결, , 홍 시장 "지역 기업 수출품목 다변화·해외시장 개척 의미"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홍종오 기자 | 대구지역 기업들의 중동 진출 발판이 마련된다. 대구시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를 기반으로 설립돼 '중동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전자상거래 기업 '눈닷컴(noon.com)'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략적 제휴를 갖기로 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18일(이하 현지시각) 중동지역 유력 온라인 플랫폼·유통기업인 눈닷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본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홍 시장과 히샴 자르카(Hisham Zarka) 눈닷컴사 사장이 대구기업의 현지 진출과 온라인 시장 입지 강화를 위해 손을 맞잡은 것이다.

 

눈닷컴사는 사우디 국부펀드와 중동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이마르(EMAAR)의 합작 투자 기업이다. 중동과 북아프리카 권역에 걸쳐 최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유통채널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눈닷컴사 관계자들이 지난해 12월 대구에서 열린 '대구경북 해외 마케팅 종합대전'에 참여해 지역 기업에 관심을 가진 게 계기가 됐다.

 

대구시와 눈닷컴은 지역 소비재 기업의 강점과 눈닷컴사의 UAE를 비롯한 중동·북아프리카 권역에 걸친 유통 영향력을 결합해 판로를 확장한다.

 

앞으로 △대구 기업의 수출 판로 확보 △현지 시장의 온라인 판매사업 활성화 등을 추진한다. 대구시는 이를 통해 지역 소비재 기업이 중동으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시의 대(對) UAE 수출액은 2020년 4천500만 달러, 2021년 7천100만 달러, 지난해 8천300만 달러로 증가 추세다. 하지만, 지역 전체 수출액의 0.8%에 불과한 데다, 품목도 자동차 부품과 전통적인 섬유(폴리에스터 직물)에만 국한돼 다변화가 필요하다.

 

홍 시장은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경제 물류 중심지인 UAE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이번 협약은 지역 기업의 수출품목 다변화와 해외시장 개척이라는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히샴 자르카 눈닷컴 사장은 "우수한 품질과 브랜드 파워를 보유한 대구기업의 입점을 희망한다" 고 말했다.

 

한편, 홍 시장은 19일에는 대구경북 신공항 경제권과 항공·물류 중심의 첨단산업도시 조성을 위해 두바이 공항 프리존(DAFZ)을 둘러보고 개발 과정을 살펴볼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K-EDU EXPO 공식 캐릭터 '투투(ToTo)' 공개

데일리연합 (SNSJTV) 김재욱 기자 | 경북교육청이 오는 26일부터 28일까지 경주에서 주최하는 글로벌 교육축제 'K-EDU EXPO(케이에듀 엑스포)'의 공식 캐릭터 '투투(ToTo)'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한글 이름은 '함내(함께 내일로)'다. 이번 캐릭터는 엑스포 슬로건인 'Learn Together, Lead Tomorrow(함께 배우며, 미래를 열다)'에서 착안했다. 'To To'는 'Together, Tomorrow'를 압축해 표현한 것으로, 세계와 미래를 연결한다는 엑스포 정신을 담았다. 한글 이름 ‘함내’ 역시 ‘함께 내일로’의 줄임말로, 교육을 통해 글로벌 연대와 내일의 희망을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공개된 '투투'는 단일 캐릭터가 아니라 엑스포가 제시하는 여섯 가지 주제 영역을 바탕으로 다채롭게 변주된 12종의 캐릭터 버전으로 구성됐다. △교육으로 연결된 미래를 상징하는 '미래의 광장' △교육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기술의 공방' △교육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문화의 뜰' △지역과 교육의 상생을 담은 '지역의 통로' △교육을 통한 세계의 연결을 표현한 '세계의 문' 등 주제를 반영한 모습으로 구현됐으며, 다양한 표정과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