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6.26 (목)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인천 22.4℃
  • 수원 24.4℃
  • 청주 24.5℃
  • 대전 24.5℃
  • 대구 28.9℃
  • 전주 25.7℃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안개여수 23.0℃
  • 흐림제주 29.7℃
  • 흐림천안 24.4℃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오터박스, 모바일 액세서리 일렉트로마트 입점

미국 판매 1위 케이스 업체 오터박스[1]가 스마트폰 케이스와 강화유리, 케이블을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액세서리를 일렉트로마트 매장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오터박스는 현재 일렉트로마트 일부 매장에서 애플 아이폰, 아이패드 전용 액세서리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입점 매장 수와 운영상품 카테고리를 지속해서 확장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SSG닷컴, 지마켓, 이베이, 11번가 등 온라인 몰에서는 애플 전용 액세서리뿐만 아니라 삼성 갤럭시 시리즈 전용 액세서리들을 포함한 더욱 다양한 상품들을 취급하고 있다.

신세계아이앤씨와 국내 총판 제휴를 맺은 오터박스는 모바일 액세서리 분야의 글로벌 선두주자로서 국 내에서도 모바일 액세서리 1위 브랜드로 성장할 것이 기대된다.

오터박스 소개

오터박스는 어떤 환경에서도 자신감과 신뢰감을 주는 견고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업체이다. 미국의 콜로라도주, 작은 차고에서 다용도 방수 상자인 드라이박스를 만드는 것으로 소박하게 시작한 오터박스는 특유의 디자인, 제조 기술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스마트폰 케이스 브랜드[1], 러기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 제품 분야의 리더가 되었다.

오터박스의 모든 혁신의 중심에는 세상에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오겠다는 데에 더 확고한 목표가 있다. 오터캐어스(OtterCares) 재단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오터박스는 기업가 정신과 자선 활동을 통해 세상을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어린이들을 고무시키는 데에 성장의 목표를 두고 있다. 오터캐어스와 오터박스의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otterbox.com/givingback.

오터박스 본사 사이트 

참고:

[1] 출처: The NPD Group/Retail Tracking Service: Cell Phone Device Protection / Units Sold / January 2015 - June 2018

(c)2019 모든 권리는 Otter Products, LLC에 있으며, 미국과 다른 나라에 등록된 오터박스 이름과 트레이드 마크는 Otter Products, LLC의 자산입니다.

로고 -

출처: OtterBox Hong Kong Limited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병태 나주시장, ‘한불 첫 만남’ 옹기주병과 마주하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라남도 나주시 국제교류 협력단이 지난 25일 프랑스 세브르 국립도자기박물관을 방문해 1851년 한불 첫 외교사에 기록된 ‘나주-프랑스 첫 만남의 상징’인 옹기주병을 관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윤병태 나주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나주시 대표단이 프랑스 클레르몽페랑시와의 우호교류 협약 체결 6월 24일에 이어 진행한 공식 일정으로 170여 년 전 한불간 첫 외교적 인연을 현재와 미래의 문화 교류로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1851년 프랑스 포경선 ‘나르발(Narval)’호 선원 20명이 전남 비금도에 표류하면서 이 문제를 수습하기 위해 당시 나주목사였던 이정현과 프랑스 영사 샤를르 드 몽티니(Charles de Montigny) 간의 공식 만찬이 이뤄졌다. 이 자리에서 프랑스는 샴페인, 조선은 갈색 옹기주병에 담긴 전통주를 교환했고 프랑스 영사는 기념으로 이 옹기주병을 프랑스로 가져갔다. 현재 이 옹기주병은 세브르 국립도자기박물관에 소장돼 있으며 ‘조불수호통상조약’(1886)보다 35년 앞선 ‘조선-프랑스 첫 외교’의 유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