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엠팩파인케미컬스과 SK바이오텍, 전세계 제약 업계에 대한 지원 확대에 집중할 새로운 미국 기업이 돼

새크라멘토, 캘리포니아주, 2019년 9월 17일 -- 한국 SK그룹 지주 회사인 SK홀딩스(SK Holdings)는 전세계 제약 분야 고객사들을 지원하는 미국 소재의 계약 제조 조직(CMO)인 SK팜테코(SK pharmteco)를 설립했다. 이번 움직임은 한국 SK바이오텍(SK biotek) 및 아일랜드 SK바이오텍과 미국 엠팩파인케미컬스[AMPAC Fine Chemicals (AFC)]을 합쳐서 통합 CMO인 SK팜테코를 설립한 것이다. 이 사업은 AFC의 전 CEO인 아슬람 말릭이 최고경영책임자로 이끌게 되며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 본사가 있다.

SK팜테코 CEO인 아슬람 말릭 박사는 "팜테코 설립은 우리가 우리의 전세계 CMO 사업을 성장시킬 훌륭한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SK홀딩스의 큰 지원에 감사하며 입증된 품질, 여섯 군데의 생산 공장, 하나의 분석 실험 시설, 다양하고 가능성 있는 기술들을 통해 고객들에게 우리의 특별한 가치 제안을 전세계로 확대된 규모로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SK팜테코는 1000 m3 이상의 CMO 생산 능력을 자랑하며 향후 수 년 동안 더 크게 확대시킬 계획이다. 팜테코를 구성하는 회사들은 기존 고객의 제품 등록을 완벽하게 지원하면서 자신의 현지 독자성을 갖고 운영될 예정이다.

SK팜테코  

SK팜테코는 미국에 기반을 둔 계약 제조 조직(CMO)으로서 엠팩파인케미컬스 및 한국과 아일랜드 SK바이오텍의 사업을 통합한 회사이다. 동사는 프로세스 개발, 스케일업 그리고 활성 제약 성분과 전세계 제약 및 바이오기술 고객들을 위해 등록된 중간재의 cGMP-컴플라이언트 상용 생산을 하는 전세계 제조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SK팜테코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 있으며 엠팩파인케미컬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란초코르도바와 엘도라도, 텍사스주 라포트, 버지니아주 피터스버그에, SK바이오텍은 아일랜드 소즈 및 한국의 대전과 세종시에 사업장을 갖고 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ampacfinechemicals.com 및 SKbiotek.com에서 당사를 방문하기 바란다.

SK홀딩스

SK홀딩스는 제약 및 생명과학, 에너지, 화학, 정보통신과 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다수의 계열사를 통해 전략적인 장기 투자를 진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고하고 있다. 그 외에도 SK홀딩스는 재무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실용 경영을 통해 성장 기반 강화에 집중하는 동시에 미래의 새로운 성장 사업들에 투자함으로써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 있다. 상세 정보가 필요할 경우 를 방문하기 바란다. 

로고 -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개인정보위, 파파존스 이어 써브웨이도 조사…'고객정보 노출' 취약점 반복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대영 기자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일 샌드위치 프랜차이즈 써브웨이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6일 한국파파존스㈜에 대한 조사에 이어 닷새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두 업체 모두 홈페이지 주소(URL)의 숫자만 변경해도 다른 고객의 정보가 노출되는 동일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써브웨이 홈페이지에서 URL 뒤 숫자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인증 없이 다른 고객의 연락처, 주문 내역 등이 확인되는 정황이 파악됐다"며 "구체적인 유출 경위와 피해 규모, 안전조치 이행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사에 들어간 한국파파존스 역시 유사한 '파라미터 변조' 방식의 취약점이 드러났다. 회사 측은 조사 착수 하루 전인 지난달 25일, 홈페이지 소스코드 관리 미흡으로 인해 2017년 1월 이후의 고객 주문정보(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가 외부에 노출됐다고 신고했다. 개인정보위는 두 업체 모두에 대해 ▲유출 경위 및 피해 규모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이행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한국파파존스의 경우, 개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