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남

경상국립대학교 함종렬 교수, 시집 《다시 만나는 길》 출판

“이 시대의 영원한 휴머니스트가 그린 서정의 세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동수 기자 |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함종렬 교수가 시집 《다시 만나는 길》(오감도, 131쪽, 1만 원)을 펴냈다.

 

2021년 《히포크라테스 선서 이후》(실천)를 발간한 후 2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에는 66편의 시가 5부로 나뉘어 실려 있다.

 

책 제목이기도 한 시 ‘다시 만나는 길’에서 그는 인생은 불완전하면서도 아름답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결국 돌아보지 말자던 마음도 길 위에서 다시 만나듯이 삶이란 우리를 언제나 서로에게 되돌려 보내는 순환의 길임을 노래하고 있다.

 

여름을 걷어 말린/가을바람은 흙을 닮았다/산은 천천히 내려와/마을로 돌아가고/논바닥엔 잘려난 벼 그루터기들이/파릇파릇 새순을 키우고 있다/약골 마을 개울 따라/한숨으로 다리를 건너고/할배 자전거처럼 흔들흔들 길이 흐른다/햇살 내려/들꽃 대궁 흔들릴 때도/돌아보지 말자고 다짐해도/길은 돌고 돌아/다시 만나 돌아간다

 

함종렬 교수는 진료실의 작은 순간들, 시장의 평범한 장면들 속에서 인간애를 따뜻하게 길어 올린다. ‘곶감 봉지’에서는 환자와의 정서적 교감, ‘해부 첫 실습’에서는 생명의 무게를 마주하는 겸허한 자세가 담겨 있다.

 

‘봄비 오는 날’, ‘어린 소풍’과 함께 ‘자개장롱’에서는 겸손한 삶의 태도가 삶을 따뜻하게 이끈다는 믿음이 느껴진다.

 

어머니 혼수로 들여왔다는/키 낮은 자개장롱//그 장롱은 다리도 짧았다/그래야 흔들리지 않는다/그래야 오래 버틸 수 있다/문 닫힌 틈으로/하루 저녁의 냄새와 피로를/조용히 품을 수 있었다//우리 아버지가 그랬다/무릎 아래 낮은 자리에서/말없이/우리를 다 넣고 살아왔다

 

《시인정신》 편집위원 박종현(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연구원 역임) 시인은 “함종렬 시인의 시에는 사물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그 세계를 재해석한 참신한 시각과 함께 인간애와 겸손이 낮은 자리의 미학으로 고스란히 자리하고 있다.

 

순수한 영혼으로 써 내려간 시들은 마치 하얀 눈처럼 독자의 마음을 덮으며 위로한다.

 

썬다 싱의 휴머니즘과 겸재의 겸(謙)사상이 하나로 녹아 있는 시집 《다시 만나는 길》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다정한 인간성의 귀환을 노래한다.”라고 평했다.

 

함종렬 교수는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으며 의과대학 부학장, 학장을 역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효과와 한계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전국을 덮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하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냉방시설 확대, 무더위쉼터 운영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지만, 실제 효과와 한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정부의 폭염 대책은 주로 무더위쉼터 확대 운영과 취약계층에 대한 냉방비 지원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무더위쉼터 접근성이 낮은 지역이나,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으로 쉼터 이용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냉방비 지원의 경우 지원 대상 및 규모가 제한적이며, 실제 지원금이 생활고에 처한 취약계층에게 충분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고령층이나 장애인 등 특정 취약계층의 경우, 단순한 냉방비 지원 외에 더욱 적극적인 돌봄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 외에도 지역사회 차원의 노력이 중요하다. 주민센터, 종교시설, 복지관 등 지역 내 유관기관들이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돕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폭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