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예천군의회는 정부가 미국과의 통상협상 과정에서 미국산 농축산물 수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는 것에 대해 강력한 반대 의사를 담은 성명서를 28일 발표했다. 예천군의회는 성명서에서 "최근 미국산 사과 수입과 소고기를 비롯한 축산물 수입 논의가 협상 테이블에 오르고 있다는 보도는 우리 농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며, "이는 국민의 식량안보와 농업의 뿌리를 송두리째 흔드는 위험천만한 발상"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미 미국산 농축산물의 주요 수입국으로, 한미 FTA 발효 이후 지난 15년간 대미 농축산물 수입이 급격히 증가해왔다"며, "추가적인 수입 확대는 국내 농업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리고 "예천군은 경상북도의 대표적인 농업 중심지역으로 사과를 비롯한 과수농업과 축산업이 지역경제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며, "미국산 농축산물의 무분별한 수입 확대는 우리 지역 농민들의 생계를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고령화와 인구감소, 기후변화와 생산비 급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농촌 현실에서 추가적인 개방 압력은 지역농업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행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안동시의회(의장 김경도)는 지난 23일 오후 4시 의회 전정에서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 철회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안동시의회는 성명서에서 "정부가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 소식은 사과 주산지인 안동을 비롯한 지역 농가에 큰 충격과 실망을 안겨주고 있다"라며, "이는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지역 농업의 근간을 흔들고 농가 생존권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최근 초대형 산불 피해와 저온피해·우박·병해충 등으로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산 사과 수입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 과수산업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안동시의회는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 즉각 철회 ▲농산물을 통상 협상 대상에서 제외 ▲사과 산업 보호를 위한 법적·제도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성명 발표 전에는 안동사과발전협의회 최영철 회장 및 사과생산자협의회 이중덕 회장, 전국사과생산자협회 황상기 중앙회 부회장, 농협 안동시지부 이광현 지부장 등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사과 산업 현황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경도 의장은 "안동은 전국에서 가장 넓은 사과 생산 지역이자 대한민국 과수 산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한국 자동차 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시점을 묻는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께"라고 답했다. 현재 한국의 자동차 수출 중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9.1%로, 전체 수출액의 절반에 달하는 347.4억 달러에 이른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량의 상당수를 국내 공장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어, 이번 관세 부과 결정이 현실화될 경우 큰 타격이 예상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현재는 대미 수출 차량에 관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로 상황이 급변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부가가치세(VAT)를 관세보다 더 가혹한 무역 장벽으로 지적하며, 각국의 비관세 장벽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수출에 추가적인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