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한국 자동차 산업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시점을 묻는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께"라고 답했다.
현재 한국의 자동차 수출 중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9.1%로, 전체 수출액의 절반에 달하는 347.4억 달러에 이른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량의 상당수를 국내 공장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어, 이번 관세 부과 결정이 현실화될 경우 큰 타격이 예상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현재는 대미 수출 차량에 관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로 상황이 급변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부가가치세(VAT)를 관세보다 더 가혹한 무역 장벽으로 지적하며, 각국의 비관세 장벽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수출에 추가적인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들은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미국 현지 생산 확대나 수출 다변화 등의 전략이 논의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번 관세 부과 계획이 실제로 시행될 경우, 한국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관련 부품 산업 등 연관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이 예상된다. 따라서 정부와 업계는 미국의 정책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다각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