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강훈 AI 칼럼 관련 시리즈 [이강훈 칼럼] 국가 주도 AI 펀딩 : 스타트업·국민·국가가 함께 가는 길 [이강훈 칼럼] 대한민국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 ‘원팀'이 필요하다 [이강훈 칼럼] 초거대 AI 시대, 지속 가능한 모델 필요.. 최선은 '오픈랩' [이강훈 칼럼] AI 패권 시대, 국가대표 AI 언어모델로 세계를 선도하자! [이강훈 칼럼] 인간을 넘어선 AI 현실화.. 활용과 안전만이 살길 [이강훈 칼럼] 국가대표 언어모델 개발, 이젠 DAO 기반 참여형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강훈 칼럼 ] AI 경쟁의 해자, 결국 ‘양자컴퓨팅’에 있다 [이강훈 칼럼] AI, 이젠 플랫폼의 시대.. "MCP는 혁명의 신호탄인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강훈(사단법인 한국인공지능연구소 소장 및 주식회사 퀀텀아이 대표) 기고, 곽중희 기자 편집 | 2025년, AI 산업이 또 한 번의 커다란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OpenAI는 자사의 챗GPT 서비스가 제공하는 거의 모든 기능을 API 형태로 외부에 전면 개방했다. 이제 누구나 OpenAI가 제공하는 음성인식, 음성합성(TTS), 검색 연동(RAG), 코드 해석 등 모든 기능을 API 호출만으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LG AI연구원(원장 배경훈)은 18일 자체 개발한 추론 AI 모델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자체 개발한 추론 AI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엑사원 딥-32B'는 32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갖춘 모델로, 미국 오픈AI와 구글, 중국 딥시크와 알리바바 등 소수 기업만이 보유한 파운데이션 모델과 견줄 수 있는 성능을 보였다. 특히, 2025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에서 94.5점을 기록하며 최고점을 달성했고,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모두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 또한,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MATH-500에서 95.7점을 기록했으며, 과학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GPQA 다이아몬드 테스트에서도 66.1점을 받아 유사한 규모의 추론 AI 모델을 앞섰다. 코딩 능력을 평가하는 라이브코드벤치(LiveCodeBench)에서도 59.5점을 기록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과 함께 경량 모델인 '엑사원 딥-7.8B'와 온디바이스 모델 '엑사원 딥-2.4B'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경량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