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그룹 시리즈 보도 [이슈분석] 외국인 투자자가 '롯데를 외면하는' 치명적 이유 [이슈분석] 롯데그룹 신동빈, 아들만 초고속 승진?... ‘지배구조 퇴행 우려’ [이슈분석] 롯데케미칼 정부 수혈에, 투자자들 "어이가 없네?" [이슈분석] 롯데지주 우선주, 롯데지주 보통주보다 비싼 이유는? [이슈분석]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사내이사직 포기?.. 알고보니, 더 좋은 곳으로 [이슈체크] 신동빈 롯데 회장, 롯데쇼핑 사내이사 복귀.. ‘선택적 책임경영’ 논란 여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여수현 에디터(영상뉴스 편집) | 신동빈 롯데그룹(코스피 004990, 롯데지주, 회장 신동빈)이 롯데칠성음료(코스피 005300, 대표이사 박윤기) 사내이사직에서 물러나고 롯데쇼핑(코스피 023530, 대표이사 김상현, 정준호) 사내이사로 복귀했다. 그룹 유통 부문의 경쟁력 약화와 실적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총수가 다시 전면에 나선 모양새지만 ‘선택적 책임경영’이라는 기존 비판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롯데쇼핑은 서울 롯데마트맥스 영등포점 6층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신동빈 회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처리했다. 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롯데 신동빈 회장이 롯데칠성음료의 사내이사직을 내려놓기로 했다. 현재 롯데 그룹 계열사들에 대표이사와 사내이사직을 과다하게 겸직하고 있는데, 이제 힘들어서 내려놓는 것일까? 사실, 신동빈 회장은 롯데칠성의 사내이사직을 퇴임 하지만, 대신 롯데쇼핑 사내이사직을 취임한다. 즉, 옮기는 것이다. 결국, 사내이사직 겸업의 총량은 줄어들지 않고 여전히 어느 재벌총수보다 급여를 많이 받아 2024년 연간 연봉도 1등 할 것이라 본다. - 기사 원문 [이슈탐사] 롯데 신동빈 회장, 사내이사직 포기?.. 알고보니, 더 좋은 곳으로
● 롯데그룹 시리즈 보도 [이슈분석] 외국인 투자자가 '롯데를 외면하는' 치명적 이유 [이슈분석] 롯데그룹 신동빈, 아들만 초고속 승진?... ‘지배구조 퇴행 우려’ [이슈분석] 롯데케미칼 정부 수혈에, 투자자들 "어이가 없네?" [이슈분석] 롯데지주 우선주, 롯데지주 보통주보다 비싼 이유는? [이슈분석]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사내이사직 포기?.. 알고보니, 더 좋은 곳으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롯데칠성음료(코스피 005300) 사내이사직에서 물러난다. 롯데칠성음료는 6일 공시를 통해 "오는 3월 22일 임기가 만료되는 신동빈 회장의 재임 여부를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신동빈 회장이 그룹 내 주요 계열사에서 사내이사로 등재되어 있던 점을 감안할 때,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하고 있다. 다만, 함정이 있는데 롯데쇼핑으로 사내이사를 옮기기 때문이다. 즉, 신동빈 회장의 과다한 겸업의 총량은 바뀌지 않았다. 사내이사직 줄이나? 오히려 롯데쇼핑으로 이동 일각에서는 신동빈 회장이 사내이사직을 줄이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그는 롯데쇼핑 사내이사로 이동할 예정이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윤태준(자료 제작 및 분석) 인턴기자 | 롯데그룹(롯데지주 코스피 004990, 회장 신동빈)이 최근 전체 37개 계열사 중 21개사의 대표를 교체하는 책임성 인사를 단행하면서도, 신동빈(시게미츠 아키오)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시게미츠 사토시) 전무는 부사장으로 초고속으로 승진시켰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신동빈 회장의 독선적 인사에 롯데그룹의 지배구조가 퇴행을 자처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유는 간단하다. 신 부사장의 경영 성과가 미비했음에도 아들이라는 이유로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신 부사장이 롯데케미칼(코스피 011170, 대표이사 신동빈, 이영준)에 재직하던 시절, 회사는 계속 실적 부진을 겪었다. 신 부사장이 롯데케미칼 일본 지사에서 상무보로 근무하던 2022년, 롯데케미칼은 (연결 기준) 매출액 22조 2,761억 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손실 7,584억 원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또한, 2022년 4분기에는 매출액 5조 4,959억 원, 영업손실 3,957억 원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더욱 악화됐다. 상무로 근무한 2023년 (롯데케미칼의) 매출액은 19조 9,491억 원으로, 영업손실 3,332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롯데쇼핑(대표 정준호)과 호텔롯데(대표 김주남)가 신한은행(행장 정상혁), 신한카드(사장 문동권)와 데이터 기반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협약식은 11월 26일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사에서 열렸다. 이번 협약은 각사의 데이터와 자산, 노하우를 활용해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협력 내용은 ▲유망 고객 대상 연계 마케팅, ▲금융·소비 데이터 결합 및 분석 역량 강화, ▲해외 자산을 활용한 공동 마케팅 확대를 포함한다. 롯데와 신한은 국내 고객을 넘어 해외 관광객과 베트남 등 양사가 사업을 펼치고 있는 지역 고객까지 협력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더불어 양 그룹은 계열사의 추가 참여를 독려해 협력 범위를 넓혀갈 방침이다. 롯데 관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혜택과 쇼핑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각사의 데이터와 역량을 다방면으로 활용해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양사의 이번 협약은 데이터 기반 마케팅과 글로벌 고객 대상 서비스 강화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