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란과 다스림, '난(亂)'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재욱 기자 | 한국국학진흥원이 '난(亂)'이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2025년 2월호를 발행했다. 연말의 추위와 함께 시작된 혼란스러운 상황이 새해에도 지속되고 있지만, 광장과 거리는 응원용 봉과 촛불, 깃발을 든 시민들로 가득하다. 수많은 난을 겪으며 극복했던 과거처럼, 지금의 어려운 시기 또한 함께 헤쳐 나가길 바라는 마음으로 선인들의 난(亂)을 살펴본다. 조선시대 뉴스 미디어, 조보로 전해진 홍경래의 난 '조선 최대의 내란, 홍경래난은 어떻게 전국에 알려졌나'에서 성아사 박사는(연세대학교) 1811년 평안도에서 발생한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어떻게 전국적으로 유포되고, 이후로도 기억되었는지에 관해 설명한다. 홍경래의 난은 조선 역사상 찾아보기 힘든 체계적인 조직력을 바탕으로 정부군에 맞선 대규모 반란이었다. 홍경래의 난으로 인하여 당대인들이 받은 충격은 적지 않았고, 반란 관련 소식은 신속히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홍경래의 난에 대한 정보는 지금보다 교통과 통신이 미비했던 19세기 초에 어떻게 빠르게 전국으로 퍼져나갈 수 있었을까? 바로 조선시대의 뉴스 미디어라 할 수 있는 조보(朝報) 덕분이다. 조
- 김재욱 기자 기자
- 2025-02-05 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