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이번 SK텔레콤의 해킹사태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우선, 용어 정리가 필요하다. 이번 사태는 USIM을 담고 있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홈가입자서버)가 해킹당한 것이다. HSS는 USIM, eSIM 정보를 담고 있는 통신사의 핵심이다. 원리는 아래 그림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기사 원문 [이슈분석] SK텔레콤 HSS 해킹, 인증 체계 뚫렸다…통신 인프라 근본 흔든 초대형 사고 -영상편집 : 윤태준 인턴기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지난 4월 18일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 SK텔레콤(이하 SKT, 코스피 017670, 대표이사 유영상)의 홈가입자서버(HSS)가 해커의 공격을 받아 수 천만 가입자의 USIM 인증 관련 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가입자 인증과 서비스 권한을 관리하는 핵심 인프라가 뚫리면서, 가입자들은 디지털 신원 자체가 위협받는 초유의 상황에 직면했다. SKT는 사건 발생 나흘 만에 이를 공식 인정하고 대응에 나섰지만, 정보 공개 지연과 함께 대규모 가입자 이탈, 집단 소송 움직임 등 심각한 사회적 파장을 낳고 있다. HSS란 무엇인가: 이동통신망의 '심장' HSS(Home Subscriber Server)는 LTE와 IMS 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입자의 식별 정보, 인증 키, 서비스 이용 권한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다. 이 서버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켜거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때, 통신사와 안전하게 인증을 주고받는 핵심 역할을 한다. * IMS(IP Multimedia Subsystem) : 메세지, 음성, 영상 서비스를 모두 인터넷(IP) 기반으로 통합해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HSS는 단순한 고객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