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전북

완주군, 취약계층을 위한 먹거리체계 푸드플랜 구축

소농‧고령농 농산물 활용한 독거세대 요리교실 시범운영, 반찬나눔도 계획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양평호 기자 | 지속가능하고, 누구에게나 평등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완주푸드플랜을 추진하고 있는 완주군(군수 박성일)이 취약계층을 위한 사업을 통해 먹거리체계를 다지고 있다.

완주군은 21일 현재 읍면 먹거리체계 구축을 위해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요리교실, 반찬 나눔 등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삼례읍과 이서면에서 시범운영 중으로 (재)완주공공급식지원센터, 로컬푸드협동조합, 읍면먹거리사업단(준)가 공동주관해 독거세대 요리교실, 식-농교육, 취약계층 반찬나눔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요리교실은 독거세대 청년, 중장년 남성 20명(삼례 10명, 이서 10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7월 한 달간 매주 1회씩 총 4회에 걸쳐 진행된다.

 

이들은 식생활, 농업교육과 함께 농산물을 활용한 요리법을 배우며 지역 농업에 대한 관심을 키우고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참가자들은 읍‧면지역의 소농, 고령농이 생산한 농산물을 이용해 가지부침, 오이소박이김치, 깻잎김치 등을 배우며 요리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고 있다.

 

삼례는 완주문화도시지원센터 공유부엌에서, 이서는 전북삼락로컬마켓 공동체 부엌에서 교육이 진행 중이다.

 

식농교육 및 요리교실에 참가한 한 소비자는 “로컬푸드를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한 개념을 몰랐는데, 요리교실을 통해 우리 지역의 농업과 먹거리에 대해 알 수 있어 도움이 많이 됐다”고 말했다.

 

또한, 읍면먹거리사업단(준)을 주축으로 오는 23일부터는 먹거리 취약계층에게 지역 소농, 고령농의 농산물을 활용한 반찬나눔 사업도 진행될 예정이다.

 

군은 12주에 걸쳐 진행될 반찬나눔을 통해 주민들의 공감대를 얻고, 소농‧고령농이 사회적경제조직과 연계될 수 있도록 민관거버넌스 구축도 꾀하고 있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읍‧면 먹거리체계구축 사업은 푸드플랜 정책의 2단계 도약을 위한 사업이다.”이며 “읍면의 다양한 계층이 참여해 지역 소농과 가족농을 살리고, 특히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군단위로 추진해 오던 지역 푸드플랜 정책을 읍‧면단위로 좀 더 촘촘하게 추진해 군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에 앞장설 계획이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카카오, 2분기 실적 발표… 광고 매출 감소에도 플랫폼 성장세 유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카카오가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광고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성장세를 유지하며 시장의 기대치를 웃돌았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는 25일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 1000억원, 영업이익 200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핵심 사업인 메신저와 콘텐츠 플랫폼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광고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는 점입니다. 최근 경기 침체와 광고 시장 위축으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는 플랫폼 경쟁력을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카카오는 앞으로도 플랫폼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여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특히,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개발과 콘텐츠 경쟁력 확보에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통해 플랫폼 이용자 확대와 매출 증대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전략입니다. 하지만, 광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카카오의 앞으로의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