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김준호기자]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선 영어 영역이 절대평가로 치러진다.
문제 풀이보다는 말하기나 듣기 등 실질적인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교육부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치르게 되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영어 영역에 절대평가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험생들은 다른 응시자의 영어 성적과 관계없이 원점수에 따라 정해진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영어 영역은 100점 만점에 9개 등급으로 구분되며, 등급 간 점수 차이는 10점으로 설정됐다.
교육부는 절대평가가 도입되면 불필요한 경쟁이 줄어들어 사교육 부담도 함께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또 학교 수업도 말하기와 듣기 등 실질적인 영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바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영어영역에서 만점자가 속출하는 지금의 상황에서 절대평가는 변별력이 없다는 비판도 있다.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필수 과목이 되는 한국사도 영어와 마찬가지로 절대평가로 치러지며, 나머지 과목은 상대평가가 유지된다.
영어 절대평가 등급 활용 방안을 포함한 대학별 2018학년도 전형 시행계획은 내년 4월까지 발표될 예정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