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3.8℃
  • 구름많음강릉 12.5℃
  • 맑음서울 12.6℃
  • 맑음인천 10.5℃
  • 맑음수원 11.7℃
  • 맑음청주 13.7℃
  • 맑음대전 14.1℃
  • 맑음대구 14.0℃
  • 맑음전주 14.2℃
  • 맑음울산 13.8℃
  • 맑음광주 13.0℃
  • 맑음부산 14.2℃
  • 맑음여수 13.7℃
  • 구름많음제주 12.4℃
  • 맑음천안 12.7℃
  • 맑음경주시 14.8℃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전북

완주군 "2020 사회조사 보고서" 발표, 완주 청년들 4차 산업혁명 인지도 높아

6개 분야 최대 64% 기록, “4차 산업혁명 흐름에 관심 갖고 적극 대응해 나가자” 적극대응 단면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양평호 기자 | 완주군(군수 박성일)은 지난 22일 "2020 사회조사 보고서"결를 발표했다.

이번 "2020 사회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완주군 청년들의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의 인지도 조사에 "잘 알고 있다"는 주민들의 응답 비율에서는 "인공지능(AI)" 38.0%, "사물인터넷(IoT)" 28.4%, "빅데이터" 27.7%, "자율주행 자동차" 40.1%, "3차원 인쇄" 33.0%,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30.8% 등으로 조사됐다.

 

이런 인지도 비율은 같은 방식의 전북 전체 응답비율과 비교할 때 비슷한 수준이며, 일부 항목 답변에서는 오히려 완주군 주민들의 인지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인공지능(AI)을 잘 아는 편”이라는 답변은 전북 평균(32.4%)보다 완주군 주민 응답(35.7%)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완주군의 39세 이하 젊은층 응답자들은 6개 분야별로 적게는 45%에서 최대 64%의 인지도를 보여 4차 산업혁명 흐름에 관심을 갖고 적극 대응해 나가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됐다.

 

39세 이하 청년 3명 중 2명 가량은 “인공지능에 대해 잘 아는 편(59.9%)이다”라거나 “매우 잘 알고 있다(4.0%)”고 응답했으며, “잘 모른다”는 비율은 36.2% 수준이었다.

 

사물인터넷에 대해서도 젊은층 응답자의 절반(50.6%)이 매우 잘 알거나 잘 아는 편이라고 말했으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인지도 역시 61.3%로 집계됐다.

 

이밖에 자율주행자동차 60.0%, 3차원 인쇄 58.8% 등 완주군 청년들은 대체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다. 다만, 빅데이터에 대한 인지도만 45.5%를 기록하는 등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에 60세 이상 연령층의 인지도는 인공지능 13.6%, 사물인터넷 7.8%, 빅데이터 9.0%, 자율주행자동차 15.4%, 3차원인쇄 7.9%,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6.3% 등으로 저조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8월 19일부터 9월 7일까지 2주 동안 완주군 54개 조사구 810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 1,176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령대별 응답자 수는 39세 미만이 199명(16.9%), 39~59세 413명(35.1%), 60세 이상 564명(48.0%) 등이었다.

 

한편 보고서는 거주 지역과 조사 대상, 성별, 주택 형태별, 세대구분별, 학력별, 직업별 변수를 독립변수로 각 문항에 대해 교차분석을 실시해 신뢰도를 높였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탄핵선고 전문>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전문> 지금부터 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에 대한 선고를 시작하겠습니다. ▣ 먼저, 적법요건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➀ 이 사건 계엄 선포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는지에 관하여 보겠습니다. 고위공직자의 헌법 및 법률 위반으로부터 헌법질서를 수호하고자 하는 탄핵심판의 취지 등을 고려하면, 이 사건 계엄 선포가 고도의 정치적 결단을 요하는 행위라 하더라도 그 헌법 및 법률 위반 여부를 심사할 수 있습니다. ➁ 국회 법사위의 조사 없이 이 사건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점에 대하여 보겠습니다. 헌법은 국회의 소추 절차를 입법에 맡기고 있고, 국회법은 법사위 조사 여부를 국회의 재량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법사위의 조사가 없었다고 하여 탄핵소추 의결이 부적법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➂ 이 사건 탄핵소추안의 의결이 일사부재의 원칙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보겠습니다. 국회법은 부결된 안건을 같은 회기 중에 다시 발의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피청구인에 대한 1차 탄핵소추안이 제418회 정기회 회기에 투표 불성립되었지만, 이 사건 탄핵소추안은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