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소상공인 불공정거래 피해 해결사 '소상공인 울화통' 오픈 - 중소기업청



전국 59개 소상공인지원센터를 통해 2월 1일부터 피해 상담업무 개시


대기업, 가맹본부 등의 불공정거래로 인한 피해 소상공인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소상공인지원센터(전국 59개)에서 피해상담을 본격 지원한다.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사장 이일규)은 불공정거래로 인한 소상공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사전 대응능력을 높이기 위해 전국 59개 소상공인지원센터 내 '소상공인 울화통!(불공정거래 피해상담센터)'를 개설하고 2월 1일(월)부터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소상공인의 경우, 규모의 영세성, 거래관계의 공정성을 판단할 전문지식 부족, 상대적 약자로서 공개하기 곤란한 상황 등의 이유로 스스로 피해대책 마련이 어려운 실정임에 따라, 불공정 거래에 관한 정보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제공하고 피해 예방교육, 전문가 상담 및 파견, 피해구제(분쟁조정 신청 등)까지 지원하는 '소상공인 울화통!(피해상담센터)'을 개설·운영하게 되었다.

상담 수요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전국 각지에 소재한 59개 소상공인지원센터 내에 설치하게 되었으며, 소진공의 피해지원본부에서 59개 상담센터의 상담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전문가를 직접 현장에 파견하는 등 피해유형별 맞춤지원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사전예방기능으로 '불공정거래 피해 실태조사(연 1회)'와 소진공 지역본부를 통해 운영 중인 소상공인 경영교육시 피해 예방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피해상담 이후, 필요시 전문가 자문(1:1상담 및 파견 → 분쟁 조정신청) 과 상담과정에서 확인된 불합리한 법·제도의 개선 등 사후대책까지 일괄 지원할 계획이다.

불공정거래의 유형, 법률적용 및 사례, 지역별 상담센터 위치 등 관련 정보는 소진공 사이트(www.semas.or.kr→참여마당 '소상공인 울화통!' 불공정거래 피해상담센터)를 통해 볼 수 있으며, 피해상담 또는 분쟁 해결에 도움이 필요한 소상공인은 가까운 상담센터를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또는 전화(1588-5302)로도 신청할 수 있다.

중소기업청은 "이번 상담센터 운영을 통해 소상공인들이 고충을 맘껏 털어놓고 해결할 수 있는 장(場)이 되고, 이를 계기로 시장지배자적 위치에 있는 대기업, 가맹본부 등이 사회적 책임과 자정 노력을 더하여, 소상공인들이 공정하지 못한 거래 관계로 억울함에 눈물 흘리지 않고 생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심각… 정부 대책 효과 미흡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야외 작업장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따른 온열 질환 발생과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휴식 시간 확보, 작업 환경 개선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 환경은 열악한 경우가 많아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의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더 강력한 법적 규제와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이유로 인력 감축을 시도하는 사례도 보고되면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노동 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