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매매시황…서울 강남권 15주 만에 반등



부동산뱅크 조사에 따르면 금주 버블세븐 지역의 아파트값은 0.01%▲, 강남권 아파트값은 0.02%▲ 등 주요 지역들이 지난 3월 이후 첫 상승세를 탔다. 높은 상승은 아니지만 1년 넘는 장기불황에 빠진 수도권 시장에서는 기대감을 가져볼 만한 결과다. 특히 강남권은 주요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약진한 것이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도 0.02%▲로 18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수도권 시장은 전반적으로 지난주에 비해 아파트값 하락폭이 많이 줄어든 양상이다. 서울 -0.02%▼ 경기도 -0.01%▼, 인천시 -0.09%▼, 1기 신도시 0.00%- 등을 기록하며 7월 중에 하락폭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성북구 0.06%▲, 성동구 0.05%▲, 강북구 0.03%▲, 관악구 0.02%▲, 서대문구 0.01%▲ 등이 강보합세를 보인 반면, 양천구 -0.29%▼, 은평구 -0.17%▼, 금천구 0.10%▼, 마포구 0.08%▼, 중랑구 -0.06% 등이 약세를 이어갔다.

특히 서울 재건축 시장은 강남구(0.31%▲)의 상승세가주목을 끌고 있다. 압구정 초고층 개발 사업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구체화되면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기존 재건축 단지들을 중심으로도 급매 위주의 거래가 간간이 성사되면서 가격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다주택 양도세 중과세 폐지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전셋값 상승으로 인한 매입자금 부담 감소 등도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강남구는 재건축 단지들이 몰려있는 강남구 개포동 0.26%▲, 삼성동 0.17%▲, 압구정동 0.09%▲, 수서동 0.05%▲, 대치동 0.02%▲ 등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0.32%▲, 오산시 0.06%▲, 수원시 0.05%▲, 의왕시 0.03%▲, 안양시 0.02%▲ 등 서울과 인접한 주요 지역들의 집값이 강세를 나타냈다. 반면 과천시 -2.07%▼, 파주시 -0.47%▼, 이천시 -0.20%▼, 광주시 -0.11%▼, 고양시 -0.09%▼ 등은 약세를 이어갔다. 특히 과천시는 보금자리 여파와 정부청사 이전 등의 영향으로 인해 불황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1기 신도시에서는 산본이 0.08%▲로 가장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고, 평촌 0.03%▲, 분당 0.01%▲, 중동 0.00%- 등을 기록해 일산(-0.09%▼)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들이 강세를 나타냈다. 특히 산본과 평촌의 경우 실수요자들이 많이 찾는 지역으로 전셋값이 오르면서 집값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인천시는 부평구 0.02%▲, 강화군 0.07%▲ 상승한 반면, 중구 -0.41%▼, 동구 -0.23%▼, 서구 -0.13%▼, 연수구 -0.13%▼, 남동구 -0.10%▼, 계양구 -0.08%▼, 남구 -0.06%▼ 등은 약세를 보였다.

지방시장은 지난주에 비해 상승폭이 줄어든 모습이다. 5대 광역시 0.24%▲, 도전체 0.47%▲, 강원권 0.21%▲, 충청권 0.37%▲, 전라권 0.40%▲, 경상권 0.33%▲ 등을 나타냈다.

5대 광역시에서는 광주시 0.37%▲, 부산시 0.28%▲, 울산시 0.14%▲, 대구시 0.10%▲, 대전시 0.09%▲ 등을 기록했다. 도지역별로는 충청북도 0.98%▲, 경상북도 0.75%▲, 경상남도 0.48%▲, 전라북도 0.43%▲, 충청남도 0.26%▲, 강원도 0.21%▲, 전라남도 0.02%▲ 등의 순으로 올랐다.

광주시에서는 북구 1.49%▲, 남구 0.34%▲ 등이 강세를 보였고, 대구시에서는 남구 0.44%▲, 북구 0.16%▲, 대전시는 서구 0.28%▲, 동구 0.17%▲, 부산시에서는 동래군 1.00%▲, 기장군 0.84%▲, 금정구 0.65%▲, 사상구 0.55%▲, 울산시에서는 남구 0.71%▲ 등이 높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밖에 지방에서는 경상남도 함안군 8.10%▲, 충청북도 옥천군 7.54%▲, 충청남도 청양군 5.43%▲, 전라북도 정읍시 5.06%▲, 경상북도 구미시 1.80%▲, 강원도 강릉시 0.54%▲ 등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성남시 고도제한 완화방안(5개안) 주민설명회 개최, 큰 관심 속 성료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성남시는 27일 오후 2시 시청 온누리에서 ‘제3차 고도제한 완화방안 연구 및 자문 용역’과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고도제한 완화에 관심 있는 주민 약 5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한국항공운항학회의 송병흠 책임연구원 등이 고도제한 완화 5개 방안과 향후 계획을 설명한 뒤 주민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신상진 시장은 “성남시 고도제한 완화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 모두가 뜻을 모아 중앙정부에 확고한 의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 시가 마련한 고도제한 완화 방안 5개안 중 2개안은 국방부가 수용하여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근본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높이려면 나머지 3개안도 관철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최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시행령’ 개정으로 8월 26일부터 원도심 재개발·재건축 시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게 된 점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서울공항 인근 비행안전구역 변경 고시에 따라 야탑·이매 일부 지역의 고도제한이 완화된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단지별 적용 여부를 묻는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