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5일 교육부와 동북아역사재단은 독도지킴이학교로 선정된 14개교의 동아리 지도 교사와 학생들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독도지킴이학교 발대식을 가졌다.
이 발대식은 지난 3월 18일 검정 통과한 일본 고교 사회과 교과서의 독도 영토주권 침해와 왜곡이 심각하다는 판단에서 추진되 독도바로알기 교육주간에 적극 동참하기 위하여 개최했다.
발대식에는 학교 별 독도 동아리 활동 내용과 유관 단체의 우수 프로그램 등 정보 공유를 통해 독도지킴이학교 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다.
독도지킴이학교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동아리 중심의 독도교육 실천학교다. 독도지킴이 학교는 11년 60개교로 시작해 15년 100개교로 확대되었다. 올해는 350개교가 응모하여 지난 3월 23일 총 130개교(초:30고, 중:60교, 고:40교)가 최종 선정되었다.
독도지킴이학교에서는 독도 관련 동아리를 결성하여 동해·독도 표기 홍보, 독도 모형 만들기, 독도 수호 캠프 등 학교 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독도 관련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독도영토주권 수호 활동을 펼치게 된다.
박성민 역사교육정상화추진단 부단장은 환영사에서 "일본의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독도가 명백한 우리 영토인 근거를 분명히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국제 사회에 홍보 할 수 있는 실천적 활동가가 되어야 한다"며 독도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천 두 가지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