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예술통신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 쏟아지는 화살 같은 선율로 헝가리의 마음을 빼앗다.

[2016.06.03]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 세월을 거스르듯
쏟아지는 화살 같은 선율로 헝가리의 마음을 빼앗다.
19세기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의 모국인 헝가리, 그 속에 베어있는 헝가리 인들의 민족성은 그 자체가 음악이며, 삶이었다. 거리 곳곳에서 가요보다는 클래식에 좀 더 깊이 베어있는 것 같았고, 음악인이 아니어도 음악인에 못지않은 클래식에 대한 열정이 묻어나는 모습은 세계 어느 국가의 음악인들이라도 반드시 꼭 이 땅에서의 무대를 바라고 바라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았다. 그런 이 곳에서 아직 어리고 젊지만 그가 가진 음악적인 고뇌와 열정으로 가득한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이 헝가리의 역사적인 도시 솜버트헤이의 대표 오케스트라인 사바리아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정기 연주회에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 77번을 가지고 무대에 섰다.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 77번은 1878년 작곡된 곡으로 브람스의 유일하지만 베토벤과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더불어 3대 협주곡에 손꼽힐 만큼 깊이와 밀도 그리고 쏟아지는 듯한 바이올린 선율이 매우 매력적인 곡이다. 워낙 유명한 곡인 만큼 동양의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을 향한 관객들의 눈빛은 이 강력한 에너지의 곡을 어떻게 전달할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가득했다.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지휘자의 손짓으로 1악장의 문이 열렸다. 곧 이어진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의 선율은 오케스트라의 모든 음을 주도해 이끌어나가듯 리더십이 느껴졌고, 치밀한 운지법은 악보 그대로를 재현해 나갔다. 마치 그 0.01초 사이에도 오로지 그 음만이 존재하는 것처럼… 그리고 2악장은 아련하고 쓸쓸하지만 아름다웠던 오보에 선율로 시작되었다.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은 바이올린의 높은 음이 결코 가볍지 않고, 마치 첼로 속의 중후함 까지도 담아내는 듯 선 굵고도 울림이 짙은 선율을 그려내었다. 마지막 3악장에서 그는 세상의 모든 에너지를 다 자신의 영혼 속으로 빨아들이고, 이를 바이올린의 4개의 현을 지배하는 손가락과 활을 쥐는 오른 팔에 다 불어넣기 시작했다. 더블스톱에서 나타나는 활기찬 가벼움이 아닌 그의 강력한 선율들은 마치 화살같이 느껴졌다. 관객의 심장 속에 다양한 각도로 꽂히기 시작하면서 아픔이 아닌 그들 가슴속에 맺혔던 모든 답답함을 겨냥하는 듯 했다. 세상의 바람이 설령 그가 쏟아내는 화살의 반대방향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막을 수 없을 것만 같았다. 단순한 기교적인 것이 아닌 자신의 모든 음악인으로서의 진심 어린 감정들까지 모두 담아내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마침내, 낮은 피치카토로 마무리 지으면서 관객들은 그 화살이 마치 자신들의 세월을 거스르는 듯 다시 아기 때처럼 그 아무런 걱정 없는 듯 평온한 미소와 화답으로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에게 끝없는 박수갈채를 보냈다.
 
솜버트헤이의 옛 이름 사바리아의 역사 속에 지금 현존하는 전술가들이 만약 약 40분에 걸쳤던 연주를 역사의 한 관점에서 바라보았다면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을 탁월한 궁수로 비유했을 것만 같다. 목숨과 목숨의 싸움이 아닌, 사람들 누구나 매번 싸워나가는 답답함을 모두 겨냥했기 때문이다. 이번 연주를 통해 필자는 음악이 가진 힘이 세상의 그 어느 총이나 무기보다도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각인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 험난하고도 전쟁 많은 세상 속에서 음악인들이 가지고 있을 소중하고 강력한 사명으로 이 땅에 진정한 평화로 물들이는 그 길에 선 바이올리니스트 위지만의 앞으로의 연주를 다시금 기다리게 된다.
@예술통신_쉔부른(글쓴이. 비엔나에서 이한나)

 
[June 3, 2016] Violinist Ji Man Wee plays the ‘impossible’ concerto by Brahms
There is not many words to describe violinist Ji Man Wee’s performance in Bela Bartok National Hall with Savaria Symphony Orchestra and conductor Alfredo Sorichetti. Adjectives, like graceful and spectacular, loses the sense of subtlety and power of each notes carried by the violinist.
Violinist Wee played the only violin concerto by Johannes Brahms; who dedicated this piece in 1878 for his close friend and greatest Hungarian violinist, Joseph Joachim. However, Joachim also had great influences on Brahms over the composition, as Brahms instructed him to correct solo parts that are difficult, awkward, or impossible to play. Joachim also provided alternatives to several passages, where ‘violinistic’ qualities are lacking and suggested adjustments i the orchestral textures to give better balance between the orchestra and the violin. Out of respect for his friend, Brahms also added a part that acted in the manner of ‘alla zingarese’ (Hungarian manner).
The premier of the concerto took place in Leipzig Gewandhaus by the two men. While it had received a positive result by the audience, many critics debated over the nature of the composition. Some praised the piece for its virtuosity and symphonic qualities, matching the level of Beethoven’s own violin concerto. However, others criticised it for being impossible for other violinist to play, as it is lacking in violinistic characteristics, but rather was more pianistic. Skeptical listeners also noted that the piece seemed to go beyond the abilities of most violinist. As Joachim was a well-known and extremely skilled violinist, the composition became one of the most difficult violin concertos. Yet, violinist Ji Man Wee performed the concerto with perfection, as if Brahms written it for him.
The first movement started with a lengthy introduction by the orchestra developing the theme to the audience. After the theme slowly dies away, the solo violin enters with an unusual use of timpani, as if playing homage to Beethoven. The soloist plays the theme again with brilliance. The violin then leads the orchestra into an intense section that finishes the exposition. The development section has a soulful melody that soon turns into a dreamy passage. After a sudden explosion by the orchestra, the soloist moves onto a cadenza, finishing off the first movement.  As the musicians move onto the second movement, the melody begins by the solo oboe with orchestral accompaniment.  The spotlight of the solo violinist dimmed for a short while. The solo violin finally takes over, giving a deft contrast between the two instruments. A cheery atmosphere is created, as the third movement begins. Wee was able to overcome many technical demands with ease, such as the use of multiple stopping, broken chords, rapid scale passages, and rhythmic variation; which are mostly found in piano compositions. He gives out a passionate small cadenza and phases into coda with a much faster tempo. As the movement reaches its peak, everyone held their breath in anticipation of the last forte.
After the final bang, the people jumped up from their seats, shouting out “Bravo!”. A concerto with Hungarian rhythm, performed by a violinist with skills matching the Hungarian violinist Joachim. It was a perfect way to end the day with Szombathely, Hungary. On the night of June 3rd, violinist Ji Man Wee, with Savaria Symphony Orchestra and Maestro Alfredo Sorichetti, gave the most satisfactory performance of Brahm’s violin concerto.
@예술통신_Schönbrunn(Written in Vienna by Rebecca L.)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안성시 보개면 주민자치노래교실·안성시가수협회·안성시음악여행, '2025 가을 소외계층 돕기 음악공연' 수익금 전달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안성시는 지난 24일 보개면 주민자치노래교실, 안성시가수협회, 안성시음악여행으로부터 현금 1,725,500원을 전달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기부는 세 단체가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열린 2025 안성맞춤바우덕이축제 기간동안 안성맞춤랜드 내 웅스카페 옆 잔디광장에서 개최한 “2025 가을 소외계층 돕기 음악공연”을 통해 마련한 것이다. 공연은 노래자랑에 참가를 원하는 시민들에게 참가비를 받고 반주 및 음향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축제 기간 동안 하루 평균 1,000여 명의 관객이 관람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행사는 지역 공동체의 연대와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함께 느낄 수 있는 뜻깊은 자리로 평가받았다. 신윤섭 보개면자치위원장은 “음악을 통해 이웃과 따뜻한 마음을 나누며 나눔의 기회를 만들 수 있어 매우 뜻깊었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연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지역 예술단체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이번 기부 활동은 사회적 책임과 연대정신을 보여준 훌륭한 사례”라며 “여러분들의 따뜻한 마음과 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