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8℃
  • 맑음강릉 3.9℃
  • 맑음서울 0.1℃
  • 맑음인천 0.6℃
  • 맑음수원 -0.2℃
  • 구름조금청주 2.9℃
  • 흐림대전 3.7℃
  • 맑음대구 5.5℃
  • 구름많음전주 5.0℃
  • 맑음울산 5.1℃
  • 흐림광주 5.9℃
  • 맑음부산 5.5℃
  • 맑음여수 5.7℃
  • 구름많음제주 10.0℃
  • 맑음천안 2.3℃
  • 맑음경주시 5.2℃
  • 맑음거제 5.8℃
기상청 제공

국제

독일, 함부르크의 '만년 대학생(Langzeitstudent)'

독일, 함부르크의 '만년 대학생(Langzeitstudent)'  

지난 21일 <디 벨트>의 보도에 따르면 함부르크 내 여러 대학교에서 2016/2017 겨울학기에 이른바 '만년 대학생(Langzeitstudent)'이 2천 4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만년 대학생이란 규정 학기를 초과해 장기간 대학에 다니는 학생을 말한다.  



2016/2017 겨울학기 함부르크 대학교에는 만년 대학생이 1천 668명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교생의 3.9%에 해당하는 수치다. 관련 학과는 법학, 인문학, 교육학, 수학, 컴퓨터공학, 자연과학부였다. 함부르크 내 다른 대학교의 만년 대학생의 수를 보면, 응용과학대학교 671명(전교생의 4%), 함부르크 공과대학교 38명(0.6%), 음악대학교 34명(2.8%), 함부르크 조형예술대학교 11명(1.2%), 하펜시티 대학교 15명(0.1%)이었다. 

만년 대학생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했다. 많은 대학생이 실습과 인턴십,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에서 체류하며 경험을 쌓고자 했고, '바푁(BAföG, 학생을 위한 정부의 무이자 학자금 대출 및 생활 보조금 지원제도)'에도 불구하고 아르바이트로 학비와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례적인 경우지만 대중교통 무료이용, 미술관이나 관광지 할인 등 대학생 신분의 혜택을 누리려는 학생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년 대학생과 관련해 기민당 소속 카르스텐 오벤스 시의회 과학전문가는 "대학생들이 규정 학기를 두 배 이상 초과하는 것은 학생 본인에게도, 입학 정원을 채워야 하는 대학교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리고 "함부르크 내 대학교의 '정규학생의 자리(Studienplatz)'는 인기 있고 귀중하다"며 "학업을 성공적으로 마치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정규학생의 자리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야만 "교육의 기회가 공정하게 분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렇다고 만년 대학생들을 제적할 수는 없다. 이들의 개인적, 사회적 어려움과 건강상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녹색당 소속 카타리나 페게방크 과학전문가는 교육청은 대학교, 경제단체와 협력해 만년 대학생들이 직업교육을 더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 출처: Die Welt online

독일 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전) 대통령 책임론, 내란재판 논의 통해 본 리더십의 그림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윤석열 전직 대통령의 내란 관련 책임론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그 책임의 경중을 두고 내란죄와 같은 중대한 법적 심판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날선 공방이 오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였던 인물의 행적이 남기는 사회적 파장과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의 부재가 더욱 사회적 공분을 사고있다. 첫째, 책임론에 관한 근본적 문제는 전직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형의 책임감을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 부족에 있다. 대통령의 자리는 단순한 행정 수반을 넘어 국가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지는 상징적 존재다. 따라서 그의 언행 하나하나는 내란재판중에도 국민 통합과 국론 분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표면적인 법적 공방 이면에는 전직 지도자로서 마땅히 보여야 할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거론된다. 과거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기 상황이나 사회적 갈등 속에서 지도자의 책임 있는 자세는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었다. 그러나 내란재판에서 보여주는 전직 대통령의 책임 떠넘기기식 행보가 오히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