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06 (일)

  • 맑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9.5℃
  • 구름많음서울 6.9℃
  • 박무인천 6.3℃
  • 박무수원 6.3℃
  • 흐림청주 6.0℃
  • 박무대전 5.4℃
  • 맑음대구 7.7℃
  • 맑음전주 4.4℃
  • 맑음울산 8.0℃
  • 박무광주 4.9℃
  • 맑음부산 8.4℃
  • 맑음여수 6.9℃
  • 맑음제주 7.6℃
  • 구름많음천안 6.4℃
  • 맑음경주시 5.8℃
  • 맑음거제 7.0℃
기상청 제공

국제

문화재는 역사의 블랙박스, 제대로 보존 못하면 악용당해

(데일리연합뉴스강대석기자)

문화재의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
 
문화재는 역사의 블랙박스 같은 역할을 한다. 이것을 제대로 보전하지 않으면 악용될 수 있다. 역사를 세탁하는데 악용하기도 한다. 중국이 고구려 역사를 왜곡하고, 일본도 가야 문화재를 갖고 역사를 왜곡한다. 유물의 기록들을 없애면서 주인 없는 고아 문화재를 만들면 물건이 남는 것이다. 역사의 정체성, 정통성을 회복하고 증거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문화재를 온전히 보전하는 것은 우리나라 문화재를 바로 세우는 중요한 일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이나 일본과 관련해 고대사 문제가 정리되지 않은 나라다. 근대사는 일본과 복잡한 관계가 있다. 과거사를 바로잡는데 문화재는 중요하다. 지도 한 장이 당시 우리가 어떤 위치에 있었고, 우리 국권이 어떻게 됐는지를 밝히는 증표다. 이 문제를 잘 다루는 게 중요하다.
 
젊은 세대가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문화재는 과거에서 와서 현재를 거쳐 미래로 가는 것이다. 미래로 가지 않는 유산은 의미가 없다. 미래 세대들이 그것의 가치를 온전히 이해하고, 그것을 더 발전시켜 후대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우리가 생각해야 한다. 역사적 책임,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과 사명감이 중요하다. 이 일을 매듭지어야 다음 세대가 이 일을 이해한다. 이어 역사를 해석하고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우리는 책임이 있고, 미래세대는 그 가치를 누려야 할 권리가 있다. 현재를 사는 사람은 무한책임을 지고 다음 세대, 미래세대에 전달해야 될 책임이 있다.
 
정부의 문화재 환수 활동에는 만족하나.
 
대단히 부족하다. 정부의 경우 문화재 반환 문제가 외교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아니다. 아직까지 경제나 안보가 중요한 문제다. 해외공관에 문화재나 문화를 담당하는 담당관이 없다. 이 문제에 대해서 장기적이고 전략적으로 풀어가는 데 한계가 있다. 이번 정부 예산 처리 과정에서도 놀랐다. 문화재가 발굴될 때 과거에 약탈당한 게 분명하면 반환하는 게 당연하다. 수집가가 사서 반출된 경우, 문화재청에서 해외 경매에 나온 문화재는 구입하고 있다.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 예산이 ‘국외소재문화재 긴급매입비’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문제는 문화재 관련 사안을 예산당국에서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이나 국민들에게 요청하는 수준이다.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 해외에 있는 문화재 중에서 환수할 목록을 챙기고 환수를 위한 전략을 짜야 한다. 과거에 (외국이) 수집해간 것 중에서 찾아야 할 것은 기금을 조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새해에 재단이 계획한 방향과 목표는 무엇인가.
 
‘백제금동관음보살입상’을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이는 백제의 미술을 대표하는 문화재다. 백제의 문화재는 ‘불꽃’과 ‘미소’로 정리된다. 돌에 새기거나 쇠로 만들어졌다. 그중에서 정말 중요한 불상인 ‘백제금동관음보살입상’이 일본에 있다. 충남도나 백제권역 사람들과 이야기해서 백제권역 문화제를 찾으려 하고 있다. 우리는 2020년 유엔에 비영리단체 등록을 하려고 준비 중이다. 문화재 관련 문제에 대한 비전을 갖고 피탈국가들과 연대하겠다. 한국이 이 문제를 잘 풀어가고, 공공외교 분야에서 주도력을 높여 가면 한국이 주도해서 UN 기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데일리연합뉴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청담 한복판에 '와인 실험실'…CMB, 블라인드 테이스팅으로 한국 시장 정조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류승우 기자 | 서울 강남 한복판에 유럽 최고 권위 와인 품평회의 체험공간이 문을 열었다. 감각에 집중한 블라인드 테이스팅과 정찰제 가격이라는 파격 실험으로, 한국 와인 시장의 체질을 바꾸겠다는 포부다. 세계 3대 와인 품평회 ‘CMB’, 서울서 체험형 공간 첫 선 세계 3대 와인 품평회로 꼽히는 ‘콩쿠르 몽디알 드 브뤼셀(Concours Mondial de Bruxelles, CMB)’이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 프리미엄 체험 공간을 열었다. ‘CMB 와인 앤 스피리츠 익스피리언스’는 4일 서울 청담동에서 350여 명의 와인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한 오프닝 행사를 열고 공식 출범을 알렸다. 이날 행사에는 CMB 보두앙 아보(Baudouin Havaux) 회장과 세계 와인양조가 협회(UIOE) 에밀리오 데필리피(Emilio Defilippi) 회장이 방한해 의미를 더했다. 브랜드 가리고 마시는 ‘블라인드 테이스팅’ 도입 CMB 익스피리언스의 핵심은 브랜드와 생산지를 숨긴 ‘블라인드 테이스팅’ 방식이다. 소비자는 와인병을 감싸고 있는 커버를 벗기기 전까지 오로지 맛과 향으로만 품질을 판단한다. 시음 후에는 ‘리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