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충남도, 환황해권 중심 도약... 또 하나의 돛을 펴

- 4차 항만기본계획·3차 항만재개발기본계획에 도내 사업 대거 포함, 신평∼내항 연륙교 1405억·보령 신항만 준설토투기장 841억 원 등 -


충남도 내 항만 개발 사업이 국가 계획에 대거 반영되며 환황해권 중심 도약을 위한 또 하나의 돛을 펴게 된다.

 

도는 해양수산부가 30일 고시한 ‘제4차 항만기본계획(2021∼2030)’과 31일 고시하는 ‘제3차 항만재개발기본계획(2021∼2030)에 도내 5개 시·군 7개 항만 41개 사업 2조 9866억이 반영됐다고 30일 밝혔다.

 

항만기본계획은 항만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향후 10년 간 전국 60개 항만에 대한 정책 방향과 시설 개발·정비, 연계수송망 구축 사업 등을 담고 있다.

 

항만재개발기본계획은 유휴 항만과 그 주변에 대한 개발 계획이다.

 

두 계획에 이름을 올린 도내 항만별 사업은 △당진항 12건 1조 2815억 원 △서산 대산항 10건 7201억 원 △보령항 4건 2940억 원·대천항 9건 6304억 원 △서천 장항항 1건 275억 원·비인항 5건 331억 원 등이다.

 

당진항에서는 신평∼내항 간 연륙교(3.1㎞)와 연결되는 내항 가로망(서부두 매립지 내 진입도로·5.8㎞) 1069억 원이 반영되며 연륙교와의 연결성을 높이고, 매립지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당진항에는 이와 함께 항만 물동량 증가 수요에 대비해 송산 일반부두 2선석 조성 1249억 원도 담겼다.

 

음섬포구 주변 39만 8000㎡에는 친수공간을 조성, 주변 해양관광산업과 연계한 관광벨트를 구축할 계획으로, 총 사업비는 2064억 원이다.

 

대산항은 충청권 유일의 컨테이너 전용 항만으로의 장점을 특화시키고, 관광항만 개발과 대기질 개선 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601억 원을 투입, 항로와 항내 선회장 준설을 통해 선박 운항 여건을 개선하고, 4선석에 153억 원을 들여 육상전원공급설비(AMP)를 설치한다.

 

AMP는 발전소 생산 전력을 수송선에 직접 공급해 하역 작업에 필요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선박 자체 발전용으로 벙커C유를 사용할 때보다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96%까지 줄일 수 있다.

 

대산항에는 이밖에 2000TEU급 다목적 컨테이너 부두 390억 원, 관리부두 1식 425억 원 등이 지속 포함돼 2021년 운영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보령항은 신항만 준설토투기장 41만 9000㎡ 841억 원, 신항만 관리부두 1식 482억 원 등이 반영되며, 30년 숙원 사업인 보령신항 개발에 한 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보령신항 준설토투기장은 지난 8월 26일 기획재정부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 내년 초 착공할 계획이다.

 

신항만 관리부두는 전용 시설이 없어 오천항 인근 해상에 계류하던 예인선을 위한 시설로, 완공하면 안정적인 항만 운영과 주변 어선 통항 불편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천항과 관련해서는 △항내 준설 110만㎥ 103억 원 △북방파제 준설토투기장 14만 3000㎡ 693억 원 등이 계획에 올랐다.

 

대천항 동측 준설토투기장 33만 1000㎡는 재개발 사업(3653억 원)이 반영돼 주변 관광지와 연계를 통한 사계절형 해양관광지 조성을 추진하게 된다.

 

비인항은 항내 준설 73억 원, 물양장 설치 63억 원 등이 반영됐다.

 

장항항은 옛 물양장 5만 8000㎡에 275억 원을 투입, 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태안항은 발전용 연료 수송을 지원하는 에너지 중심 항만 기능을 유지한다.

 

도 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도내 수출입 업체 물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이번 계획에 반영된 사업들이 조기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신규 사업도 지속적으로 발굴해 해양건도 충남의 환황해 중심 도약을 뒷받침 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주)혜성씨앤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로 공간 브랜딩 시장 혁신 선도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디지털 콘텐츠 및 디자인 전문기업 (주)혜성씨앤디가 공간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공간 브랜딩'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혜성씨앤디는 단순한 콘텐츠 납품을 넘어 기획, 제작, 시공, 운영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턴키(Turn-key) 솔루션을 제공하며 공공 및 민간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다지고 있다. 혜성씨앤디의 핵심 경쟁력은 고객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기획력과 기술력에 있다. 다년간의 디자인 및 콘텐츠 기획 경험을 보유한 대표자를 중심으로, 영상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 8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해운대구 청년창업주거 복합공간, 연산중학교 등 공공기관 및 교육시설에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시장 검증을 마쳤다. 특히 혜성씨앤디는 여성기업 인증을 통해 5천만 원 이하 사업에 대해 수의계약이 가능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영업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 이는 복잡한 입찰 절차 없이 신속한 사업 추진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강점이다. 나아가 혜성씨앤디는 일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