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코카콜라, 서울 맛집 600곳 공개… 블루리본 서베이와 두 번째 콜라보

'레드리본 서울의 맛집' 캠페인, MZ세대 핫플레이스 중심으로 확장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코카-콜라가 서울 전역의 맛집 600곳을 선정해 공개했다. 이번 ‘레드리본 서울의 맛집’은 국내 최초 맛집 평가서인 블루리본 서베이와의 두 번째 콜라보레이션 결과물로, 코카-콜라와 찰떡궁합을 이루는 서울의 대표 맛집들을 선보인다.

 

‘Coke & Meal’ 캠페인의 오프라인 확장판으로 기획된 이번 프로젝트는 코카-콜라와 블루리본 서베이가 손잡고 코카-콜라와 잘 어울리는 음식을 선보이는 맛집들을 선정해 구성됐다. 고객들의 긍정적인 평가와 리뷰를 바탕으로,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미식 경험을 제공하는 곳들이 주로 포함됐다.

 

특히 이번에 선정된 ‘레드리본 서울의 맛집’은 MZ세대의 핫플레이스로 손꼽히는 성수, 홍대/연남동, 이태원 등의 트렌디한 지역뿐만 아니라, 강남, 광화문, 여의도 등 오피스 밀집 지역의 맛집들도 총망라했다. 이는 다양한 고객층을 겨냥해 코카-콜라와 함께하는 특별한 미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레드리본 맛집’은 각 가게의 입구에 부착된 레드리본 스티커를 통해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600곳의 리스트는 블루리본 서베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 맵에서 ‘코카-콜라 레드리본 서울의 맛집’ 리스트를 추가하면, 지역별로 맛집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리스트 저장 방법은 코카-콜라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코카-콜라사 관계자는 “상반기에 선보였던 ‘레드리본 전국의 맛집 2024’에 이어, 이번에는 서울의 핫플레이스를 중심으로 한 서울 편을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며, “천고마비의 계절을 맞아 레드리본이 제안하는 서울 맛집에서 코카-콜라와 함께 잊을 수 없는 미식 경험을 즐기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블루리본 서베이는 매년 맛과 품질을 기준으로 엄선된 식당들을 소개하며, 한국 최초의 맛집 평가서로 자리매김했다. 코카-콜라는 올해 5월, ‘Coke & Meal’ 캠페인의 일환으로 첫 번째 ‘레드리본 전국의 맛집’ 550곳을 공개해 미식가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가속화 위한 윤리적 문제 해결책 모색 중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시스템의 편향성, 프라이버시 침해,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와 편향성 제거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많은 AI 시스템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데, 이 데이터 자체에 편향성이 존재할 경우 AI는 차별적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AI 기술의 오용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AI를 악용하여 개인 정보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