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0.1℃
  • 구름많음강릉 11.3℃
  • 흐림서울 9.5℃
  • 흐림인천 8.0℃
  • 흐림수원 8.4℃
  • 흐림청주 12.8℃
  • 흐림대전 12.5℃
  • 흐림대구 15.8℃
  • 흐림전주 10.5℃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11.1℃
  • 맑음부산 12.6℃
  • 구름많음여수 12.1℃
  • 맑음제주 15.4℃
  • 흐림천안 11.6℃
  • 맑음경주시 13.8℃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경북

청도군, '2024년 공모사업' 역대 최대 1,566억 원 확보...성장 기반 마련

국·도비 확보 공격적 대응, 빛을 발하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재욱 기자 | 청도군은 2024년 현재까지 총 37건의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총사업비 1,566억 원을 확보하며 민선 8기 출범 이후 공모사업 분야에서 군정 사상 유례없는 눈부신 성과를 이루어 지역 발전의 초석을 다져나가고 있다. 

 

특히, 공모사업 선정으로 확보된 예산 중 국·도비 비율이 63%에 달하는 반면, 군비 부담은 27%에 불과하여 초우량 공모사업 선정을 통해 군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국·도비를 효과적으로 확보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청도군은 민선 8기 출범 이후 공모사업 분야에서 꾸준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22년 첫해에는 공모사업 선정으로 756억 원을 확보했으며, 이듬해인 2023년에는 1,373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뿐만 아니라, 3년 차인 올해는 전년보다 193억 원이 증가한 1,566억 원을 달성하며, 첫해 대비 206%로 엄청난 증가율을 기록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주목할 점은 중앙정부가 지방소멸 문제를 해소할 목적으로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차등 배분하는 2025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 평가에서 청도군이 전국 최고등급인 '우수'를 받아 역대 최대 규모인 160억 원을 확보했다.

 

이로써, 청도군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간 총 472억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하여 군정에 특화된 기금사업을 통해 정주인구와 관계인구, 생활인구를 유입시키고 지방소멸 위기를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가고 있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투자계획 프레젠테이션을 직접 발표하며 평가단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평가단에게 강한 신뢰감을 심어줬으며,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 우수한 평가를 받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외에도, 행정안전부 주관 '2025년도 재해예방사업' 공모에서 「소진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과 「동곡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두 개 지구가 선정되어 총사업비 692억 원을 확보했다.

 

이 사업으로 소진지구는 시설 노후화와 제방 미비로 발생하는 침수 피해를 예방하고, 동곡지구는 하천정비와 교량 개체 등을 통해 침수 피해를 해결할 계획이다.

 

그 밖에도 '2024년 경상북도 저출생 대응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도전하고 육아복합지원센터 건립 선정, 저출생 극복을 위한 포괄사업비 확보 등 총 60억 원을 투자하여 육아 지원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자생 돌봄 공동체 지원사업을 통해 기존 2개소였던 공동체가 6개소로 확대됐고, 200명이 넘는 회원(부모 110명, 아이 96명)이 활동 중이며, 내년에는 8개소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공동체가 서로 협력해 아이를 돌보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육아 부담을 줄이고 육아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해 임신과 출산, 육아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그 결과 공동체 회원 평균 출생아 수가 2.6명에 이르는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군은 지난 경상북도 혁신 및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적극행정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큰 성과를 거두었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경기침체에 따른 세수 감소와 교부세 축소라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공모사업을 통한 예산 확보의 지속적인 노력과 끊임없는 도전으로 예산 7천억 원 시대를 열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이제 예산 8천억 시대 개막을 목표로 물방울이 바위를 뚫듯 수적천석(水滴穿石)의 자세로 끊임없는 노력과 도전으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인프라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슈탐사] 수천억 증발했는데, 회수는 '쬐끔'.. 책임 하나 안지는 우리은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윤태준 인턴기자 | 지난 5년간 우리은행에서 벌어진 대규모 금융사고의 공통점은 한 가지다. 직원 횡령부터 고위 경영진의 부당대출까지, 심각한 사건이 끊이지 않았지만 실질적인 책임은 누구도 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우리은행은 2022년 600억 원대 횡령 사건을 포함해 최근까지 금융사고로만 1,400억 원이 넘는 손실을 냈다. 하지만 회수율은 5%(에도 미치지 못한다. 단순히 일탈한 직원, 임원 한두 명의 문제가 아니다. 반복적이고 구조화된 사고들은 조직 내부의 통제 실패는 물론, 이사진과 CEO, 회장에 이르기까지 경영진 전반의 책임 의식 부재와 도덕적 해이를 강하게 보여준한다. 반복되는 금융사고.. 사고라 말할 수 있나? 600억 원대 횡령 사건은 단지 서막에 불과했다. 이후에도 수억에서 수백억 원 규모의 유사한 사고가 전국 지점 곳곳에서 터졌다. 그러나 이들 사건에서 주목할 점은 단순한 직원 일탈이 아닌 ‘경영진의 직접 연루됐다는 점'이다.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은 친인척에게 수백억 원의 부당대출을 제공한 혐의로 현재 검찰 기소된 상태다. 이 과정에서 전 부행장, 본부장도 배임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임종룡 현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