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5.2℃
  • 맑음서울 -7.5℃
  • 맑음인천 -7.8℃
  • 맑음수원 -6.7℃
  • 청주 -6.4℃
  • 맑음대전 -6.1℃
  • 맑음대구 -4.0℃
  • 흐림전주 -3.9℃
  • 맑음울산 -3.2℃
  • 맑음광주 -4.9℃
  • 맑음부산 -1.2℃
  • 맑음여수 -2.6℃
  • 구름많음제주 3.7℃
  • 흐림천안 -6.7℃
  • 맑음경주시 -3.8℃
  • 맑음거제 -0.9℃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바디프랜드, 설 맞아 비젼학교지역아동센터에 후원물품 전달

사회적 책임 다하는 헬스케어 업계 1위의 따뜻한 나눔
먹거리와 스마트 체중계로 아이들 건강과 행복 지원
헬스케어 업계 1위의 사회적 가치 실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용두 기자 | 헬스케어 로봇 기업 바디프랜드가 설 명절을 맞아 지역 아동들을 위해 후원물품과 먹거리를 전달하며 나눔의 가치를 실천했다.

 

먹거리와 스마트 체중계로 아이들 건강과 행복 지원
바디프랜드는 지난 24일 서울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비젼학교지역아동센터를 찾아 후원물품을 전달했다. 기부 물품에는 직원복지팀이 직접 준비하거나 거래처로부터 기증받은 명절 음식이 포함되었다. 특히 LA갈비, 닭강정, 롤케이크 등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먹거리가 준비되어 눈길을 끌었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건강을 위한 헬스케어 제품인 바디프랜드 스마트 체중계도 함께 기부되며 의미를 더했다. 센터 관계자는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강관리 물품과 맛있는 음식을 제공해줘서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전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다하며 나눔문화 선도
바디프랜드는 매년 명절 때마다 도움이 필요한 이웃과 지역사회를 위해 꾸준히 후원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 기부는 단순한 물질적 지원을 넘어,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담아 더욱 의미가 깊다.

 

회사의 한 관계자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나눔 활동은 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임 중 하나"라며, "아이들이 이번 설 명절을 조금 더 따뜻하고 행복하게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바디프랜드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웃 사랑을 실천하며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높여가겠다"고 덧붙였다.

 

헬스케어 업계 1위의 사회적 가치 실현
헬스케어 안마의자 업계 1위로 자리 잡은 바디프랜드는 혁신적인 기술력과 제품으로 고객들에게 신뢰를 받고 있다. 이와 함께 나눔 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은 많은 기업들에게도 귀감이 되고 있다.

 

특히, 이번 설 명절 나눔 활동은 단순한 홍보가 아닌 진정성 있는 사회공헌 활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바디프랜드는 기업의 성장이 단순히 매출 확대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있다고 믿고 있다.


이번 기부 활동을 통해 바디프랜드는 지역사회와의 상생 모델을 제시하며, 나눔을 통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마포구의 끈질긴 노력’ 마포공덕자이아파트 드디어 등기 완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임재현 기자 | 마포구가 지난해 이전고시를 완료한 공덕자이아파트가 1월 21일 마침내 등기를 마쳤다. 마포구는 약 10년째 미등기 상태였던 공덕자이아파트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을 해결함으로써 2025년 을사년 새해부터 주민들에게 기쁜 소식을 안겨줄 수 있게 됐다. 그동안 이전고시 등 등기절차가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공덕자이아파트 1,164세대는 금융기관 대출 등에 제약을 받았다. 마포구 추산 2023년 말 기준 1조 5,600억 원에 달하는 재산권 행사가 어려웠다. 이에 마포구는 조합과 주민 간의 법적인 문제로만 치부할 수 없다고 판단해 2023년 2월부터 문제 해결을 위한 상생위원회를 개최하고 박강수 마포구청장을 필두로 한 당사자 간 면담을 직접 중재했다. 마포구의 끈질긴 중재로 2023년 11월 미합의된 토지 등 소유자 3인 중 2인과 조합 간의 합의가 이루어졌다. 이어 2024년 10월 보상금을 놓고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했던 나머지 1인에 대한 서울지방토지수용위원회 재결에 따라, 조합이 사업구역 내 모든 토지의 수용을 마치게 됐다. 이에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