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6.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제주

일과 삶의 균형, ‘살맛나는 제주’만든다

27일 제주시 썬호텔서 2024년 신규 가족친화인증기업 대상 현판 전수식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영우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가 근로자의 일과 가정의 조화로운 삶을 지원하고,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을 위해 가족친화인증기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주도는 27일 오전 제주시 썬호텔에서 2024년 신규 가족친화인증기업 대표와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족친화인증기업 현판 전수식을 개최했다.

 

2008년 도입된 가족친화인증제는 유연근무제도, 자녀출산·양육지원 제도 등 가족친화 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 및 공공기관을 심사해 여성가족부장관이 매월 12월 인증을 부여한다.

 

2024년에는 가족친화인증 신규 11개사(대기업 2·중소기업 9), 유효연장 5개사, 재인증 14개사가 심사를 통과했다. 이로써 2025년 현재 도내 가족친화 인증기업은 총 107개사(중소기업 77·대기업 4·공공기관 26)로 늘어났다.

 

제주지역 가족친화인증기업은 제도 도입 첫해인 2008년 1개사로 시작했으나,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가 개소한 2016년 20개사로 증가한 이후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가족친화인증기업에는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제주도는 올해부터 전국 최초로 가족친화인증 중소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 제도를 시행 중이다.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도내 중소기업은 사업용 부동산 취득세 25% 감면과 주민세(사업소분, 종업원분) 면제 혜택을 받는다.

 

이 밖에도 지자체 제공 인센티브로 신용보증 수수료 감면,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우대, 제주형 민간협력 인센티브 ‘제주가치이음’도 활용할 수 있다.

 

이날 가족친화인증기업 현판 전수식에서는 경과 보고를 시작으로 기념사 및 격려사, 현판 수여식, 가족친화 경연 실천 선언문 낭독 등이 진행됐으며, 참석자들은 ‘고(Go!) 스톱(STOP!) 워라밸 제주’ 캠페인을 통해 일과 생활의 균형 실천을 다짐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가족친화인증기업 확대는 일과 가정이 양립 가능한 회사가 그만큼 늘어났다는 의미”라며 “인구 감소 대응과 기업 친화 정책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도”라고 강조했다.

 

이어 “제주도는 실질적인 지원책과 기업 경영 부담 경감을 통해 가족친화인증 참여 기업과 인센티브를 확대해 나가겠다”며 “기업과 근로자가 상생하는 행복한 기업문화 조성에 적극적인 동참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일과 가정의 균형이 핵심이라고 인식하고, 가족친화인증기업 확대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지난해 의약품 생산 32조 원 돌파…3년 만에 무역수지 흑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대영 기자 |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 실적이 32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출도 3년 만에 수입을 앞지르며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7일 발표한 '2024년 의약품 및 의약외품 생산·수출입 실적'에서 지난해 의약품 생산이 총 32조 8629억 원으로 전년보다 7.3%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1998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 규모다. 의약품 수출은 12조 6749억 원으로 28.2% 증가했으며, 수입액 11조 5085억 원을 상회했다. 이에 무역수지는 1조 1664억 원 흑자를 기록해 3년 만에 적자 구조를 벗어났다. 의약품 생산 증가를 이끈 것은 바이오의약품 분야였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은 전년 대비 26.4% 증가한 6조 3,12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이 3조 6687억 원으로 전체 바이오 생산의 58.1%를 차지하며 42.7%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셀트리온은 램시마주, 램시마펜주, 유플라이마원액 등 바이오의약품의 생산이 확대되면서 전년보다 62.5% 증가한 2조 5267억 원의 생산실적을 기록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32억 달러(약 4조 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