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5.4℃
  • 맑음강릉 7.0℃
  • 맑음서울 5.3℃
  • 구름조금인천 4.0℃
  • 구름많음수원 4.2℃
  • 구름많음청주 5.5℃
  • 구름조금대전 6.9℃
  • 맑음대구 8.0℃
  • 구름조금전주 7.7℃
  • 맑음울산 7.2℃
  • 구름많음광주 7.9℃
  • 맑음부산 8.9℃
  • 맑음여수 8.3℃
  • 흐림제주 10.7℃
  • 구름많음천안 4.9℃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8.1℃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봄을 여는 소리”…삼성 노블카운티, 감동의 신춘음악회 열려

국악과 현대가 어우러진 무대…입주회원·지역주민 함께한 문화 향연
국악과 클래식의 조화, 봄을 여는 감동의 무대
시니어를 위한 품격 있는 문화생활, 노블카운티의 특별한 기획
세대가 어우러지는 열린 공동체, 문화로 연결된 이웃의 정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주언 기자 | 봄의 시작을 알리는 '2025 삼성 노블카운티 신춘음악회'가 3월 25일, 용인에 위치한 선진형 시니어 복합단지 삼성 노블카운티에서 열려, 국악 소리꾼 유태평양과 국립국악관현악단 아티스트들의 무대로 입주자와 지역주민들에게 깊은 감동과 위로를 선사했다.

 

국악의 향기로 물든 봄날의 오후
공연 콘텐츠 전문회사 ‘컬쳐 앤 딜라잇(대표 박윤신)’이 주관한 이번 신춘음악회는 ‘봄을 여는 소리’를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소리꾼 유태평양을 중심으로 국립국악관현악단 소속 연주자들이 함께 무대에 올랐다.


이날 공연에는 타악 연제호, 대금 박경민, 생황 홍지혜, 건반 및 편곡 배새롬 등 실력파 아티스트들이 출연해 약 1시간 동안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단가 사찰가”부터 “홀로아리랑”까지…관객과의 교감 깊어져
단가 ‘사찰가’, ‘상주아리랑’과 애국가의 조화, 그리고 ‘홀로아리랑’까지 유태평양 특유의 호소력 짙은 목소리가 관객들의 마음을 울렸다.
이번 공연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관객과 함께 호흡하고 교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꾸며졌으며, 남녀노소 모두에게 진한 감동을 선물했다는 평이다.

 

시니어를 위한 선진형 복합문화공간 ‘노블카운티’
자연 속에 자리한 삼성 노블카운티는 주거는 물론 요양, 문화, 스포츠 등 다채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대표 시니어 복합문화단지이다.
체계적인 의료 서비스와 함께 문화센터·스포츠센터를 통해 시니어들의 건강하고 풍요로운 제2의 인생을 지원하고 있다.

 

3세대 공존하는 공동체…문화로 이어지는 지역사회 소통
노블카운티는 입주자뿐 아니라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센터, 스포츠시설, 어린이집 등을 개방해 세대가 공존하는 공동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5월 러브페스티벌, 가을 나눔 행사 등 지속적인 문화교류 활동도 이어가고 있으며, 이번 신춘음악회는 그 일환으로 지역과의 따뜻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마포강변8.2프로젝트’, 마포 발전의 새역사 쓴다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8.2’, 마포구 강변의 길이이자 한강과 함께 태어날 마포의 새로운 비전을 나타내는 상징적 핵심 키워드다.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서울시 자치구 중 한강을 제일 길게 접하는 자치구로 8.2km에 달하는 한강을 품고 있으며, 예로부터 마포나루와 양화나루는 한강 최고의 경제, 문화, 여가를 이끌며 번영을 누려왔다. 그러나 한강 양안 정비 과정에서 제방과 도로가 건설되면서 한강이 일상과 단절되고 마포구의 경계로 작동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서울화력발전소와 마포유수지 등의 제반 시설로 인한 제약으로 마포는 한강변보다는 홍대, 도화·공덕, 상암·수색 등 내부시가지, 특히 역세권 중심으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해왔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한강변 일대의 수변 거점 활용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마포구는 수차례에 걸친 관계 부서 회의와 용역을 통해 한강변의 이점과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내부 도시 성장축을 한강까지 확장해 마포구가 누렸던 한강변의 영광을 주민들에게 되돌릴 계획을 세웠다. 이것이 바로 마포구의 한강변 발전과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