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강원

강원특별자치도, 2016년 이후 매년 발생한 대형산불 2년 연속 차단하며 봄철 산불조심기간 무사히 종료

총 39건 발생, 경북·경남지역 산불에 장비 및 인력지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기삼 기자 | 강원특별자치도는 1월 24일부터 운영해 온 봄철 산불조심기간이 5월 15일 24시를 기준으로 종료됐으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산불대응 3단계에 해당하는 대형산불 발생 없이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올해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은 총 39건, 피해 면적은 113.70ha이다.

 

특히, 1월 영동 지역은 평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강수량으로 산불 위험지수가 높았던 상황이었으나,

 

도는 당초 2월 1일 예정이던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을 1월 13일로 앞당겨 조기 가동했고, 의용소방대와 자율방재단 등 민간협력 조직과의 공조체계를 본격 가동하며 선제 대응에 나섰다.

 

그 결과 2016년 이후 매년 이어지던 대형 산불을 2년 연속 차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산불조심기간 동안 도는 산불 예방·감시를 위해 산불감시원 2,380명, 진화대 1,118명, 이통장 1,867명, 의소대 6,854명 등 12,219명을 평시에 감시인력으로 투입했으며 강풍·건조 기상특보 발효 시에는 자율방재단 2,976명 등 최대 3,179명을 추가로 투입하여 총 15,398명을 운영했다.

 

산불 진화에는 총 1,118명의 인력과 헬기 25대(도 임차 7, 산림청 7, 소방 3, 군부대 8)가 투입됐으며, 산불 발생 출동 39건, 산불오인 출동 38, 군사분계선 인근 출동 8건 등 총 85건의 출동이 있었다.

 

대표적인 산불 사례로는 정선 여량면 24ha와 인제 상남면 73ha이 있으며, 각각 상황에 맞는 대응이 이뤄졌다.

 

정선은 겨울철 한파로 저수지가 얼어 진화용수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됐으나 도는 전년도 11월부터 저수지에 동절기 결빙방지 장치를 설치해 신속한 진화에 도움이 됐고,

 

인제 산불은 행정안전부가 배포한 '초고속 산불 대비 지자체 가이드라인 및 국민행동요령'을 현장에서 적극 실행해 인명피해 없이 진화했다.

 

한편, 도는 경북·경남지역의 대형산불 발생시 진화지원 요청에 따라 누적기준 헬기 126대(도임차 9, 산림청 49, 군부대 65), 소방차 등 진화장비 388대, 인력 2,611명을 지원했으며 이 과정에서 안타깝게도 도 임차 헬기 1대의 사고가 발생하는 일도 있었다.

 

앞으로 도에서는 산불조심기간이 종료됐으나 기상특보에 대비해 도 임차 헬기 7대를 6월 27일까지 운영하며 대응 태세를 유지할 계획이며, 시군 실정에 맞게 산불감시·진화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김진태 지사는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대형산불없이 봄철산불조심기간을 무사히 마칠 수 있어 다행”이라며, “산불예방과 진화를 위해 함께 힘써주신 강원도민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목 졸린 언론".. 국경없는 기자회, 대선 후보에 '언론 자유 회복' 최후통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제 언론 감시단체 국경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 RSF)가 대한민국 대선 후보들에게 언론 자유 수호에 대한 확고한 공약을 요구하며, 윤석열 정부에서 본격화된 언론 탄압을 종식시킬 것을 촉구했다. RSF는 23일 성명을 통해 “윤석열 정권에서 언론의 자유는 뚜렷하게 위축됐으며, 이는 국제 지표로도 명확히 드러난다”며, 2025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에서 한국이 6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의 43위에서 불과 3년 만에 18계단 하락한 수치로, 오랫동안 유지해온 ‘동아시아 언론 자유의 리더’ 지위를 상실한 결과다. 특히 RSF는 “만약 최근 국회에서 계엄령이 저지되지 않았다면, 대통령에게 전례 없는 언론 통제권이 부여됐을 것”이라며 민주주의 근간이 위협받을 뻔했다고 경고했다. RSF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임기 동안 언론을 향한 조직적 압박이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비판 보도를 ‘가짜 뉴스’로 낙인찍으며 기자들을 반복적으로 공격했다”며, “지난 3년간 14개 매체의 기자들이 수사, 고소, 기소 등의 법적 조치를 당했으며, 대부분 명예훼손 혐의였다”고 밝혔다.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