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9월부터 정읍사랑상품권 ‘15% 할인·월 100만’…농촌 사용처까지 넓혔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정읍시가 9월부터 정읍사랑상품권의 할인율을 15%로 높이고 월 구매한도 100만원, 보유한도 200만원으로 상향한다.

 

동시에 사용처가 부족했던 면 지역의 결제 편의를 보강하기 위해 일부 하나로마트와 농자재판매장을 정식 사용처로 추가했다.

 

할인 혜택을 키우고 결제 지도를 넓혀 가계 부담을 덜고, 골목·전통시장·농촌 소비까지 견인하려는 전략이다.

 

정읍사랑상품권은 2019년 도입 이후 지역 내 소비를 견인해 왔다.

 

지난해 600억원 규모가 전액 조기 소진될 정도로 호응을 얻자, 시는 올해 발행 규모를 1000억원으로 키워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여기에 이번 할인·한도 상향이 더해지면 시민 체감 혜택은 한층 커진다.

 

예컨대 월 한도 100만원을 구매하면 즉시 15만원을 아끼는 셈이고, 부부가 각 100만원씩 마련하면 가계 한 달 생활비에서 최대 30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개인 보유한도는 200만원이므로 사용·충전 주기를 계획적으로 관리하면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있다.

 

현장의 결제 편의도 달라진다.

 

행정안전부 운영지침 개정과 하나로마트 사용 기준 확대를 반영해, 사용처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농촌 현실을 고려했다.

 

이에 따라 입암·소성·고부·영원·감곡·옹동·칠보·산내·산외 9개 면의 하나로마트와, 입암·소성·덕천·정우·감곡·옹동·산내 7개 면의 농자재판매장에서 정읍사랑상품권 결제가 가능해진다.

 

생필품과 영농자재를 상품권으로 바로 결제할 수 있어, 면 지역 생활권의 체감 편익이 커질 전망이다.

 

구매 채널은 그대로 편리하다.

 

매월 1일 오전 8시 판매를 시작하며, 모바일 상품권은 ‘지역상품권 chak’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좌를 연결해 자동충전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다.

 

카드형은 농협·전북은행·새마을금고·신협에서 발급과 충전을 지원한다.

 

이학수 시장은 “정읍사랑상품권은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핵심 정책수단”이라며 “이번 할인율·한도 상향과 사용처 확대를 통해 시민 가계 부담을 줄이고 지역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층 디지털 소외 심화, 사회적 연대 강화로 해결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현재,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되고 키오스크,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필수가 되면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권리마저 침해받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고립과 정보 접근성 불평등을 야기하며, 시급한 사회적 논의와 해결책 마련이 요구된다. 디지털 소외는 고령층의 건강, 금융, 복지 등 삶의 질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진료 예약, 모바일 뱅킹, 정부 지원금 신청 등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디지털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노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장벽을 느낀다. 또한, 비대면 소통 방식의 확산은 가족 및 사회 구성원과의 단절을 심화시켜 심리적 외로움과 고독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키오스크 체험존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일회성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