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9월부터 정읍사랑상품권 ‘15% 할인·월 100만’…농촌 사용처까지 넓혔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정읍시가 9월부터 정읍사랑상품권의 할인율을 15%로 높이고 월 구매한도 100만원, 보유한도 200만원으로 상향한다.

 

동시에 사용처가 부족했던 면 지역의 결제 편의를 보강하기 위해 일부 하나로마트와 농자재판매장을 정식 사용처로 추가했다.

 

할인 혜택을 키우고 결제 지도를 넓혀 가계 부담을 덜고, 골목·전통시장·농촌 소비까지 견인하려는 전략이다.

 

정읍사랑상품권은 2019년 도입 이후 지역 내 소비를 견인해 왔다.

 

지난해 600억원 규모가 전액 조기 소진될 정도로 호응을 얻자, 시는 올해 발행 규모를 1000억원으로 키워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여기에 이번 할인·한도 상향이 더해지면 시민 체감 혜택은 한층 커진다.

 

예컨대 월 한도 100만원을 구매하면 즉시 15만원을 아끼는 셈이고, 부부가 각 100만원씩 마련하면 가계 한 달 생활비에서 최대 30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개인 보유한도는 200만원이므로 사용·충전 주기를 계획적으로 관리하면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있다.

 

현장의 결제 편의도 달라진다.

 

행정안전부 운영지침 개정과 하나로마트 사용 기준 확대를 반영해, 사용처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농촌 현실을 고려했다.

 

이에 따라 입암·소성·고부·영원·감곡·옹동·칠보·산내·산외 9개 면의 하나로마트와, 입암·소성·덕천·정우·감곡·옹동·산내 7개 면의 농자재판매장에서 정읍사랑상품권 결제가 가능해진다.

 

생필품과 영농자재를 상품권으로 바로 결제할 수 있어, 면 지역 생활권의 체감 편익이 커질 전망이다.

 

구매 채널은 그대로 편리하다.

 

매월 1일 오전 8시 판매를 시작하며, 모바일 상품권은 ‘지역상품권 chak’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좌를 연결해 자동충전 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다.

 

카드형은 농협·전북은행·새마을금고·신협에서 발급과 충전을 지원한다.

 

이학수 시장은 “정읍사랑상품권은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핵심 정책수단”이라며 “이번 할인율·한도 상향과 사용처 확대를 통해 시민 가계 부담을 줄이고 지역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14년 된 숙원사업 해결 광교 웰빙타운 해모로아파트 주민들, 이재준 수원시장 찾아 "감사합니다!"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광교지구 송전철탑 이설’이라는 14년 묵은 숙원사업이 해결된 광교 웰빙타운 해모로아파트 주민들이 이재준 수원시장을 찾아 감사인사를 했다. 광교 해모로아파트 엄용기 입주자대표회장, 이금순 노인회장 등 5명은 광교지구 송전철탑 이설 사업 완료를 기념해 2일 수원시청을 방문했다. 이재준 시장에게 감사인사를 하고 감사패를 전달했다. 주민들은 “시장님의 결단력, 주민 불편에 대한 진정한 공감이 있었기에 송전철탑 이설이 가능했다”며 “불편을 겪는 시민을 위해 헌신해 주신 시장님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광교지구 송전철탑 이설은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송전탑 3기를 철거하고, 2기를 신설하는 사업이었다. 토지 보상 등 행정 절차와 인접 지자체의 민원 제기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난 5월 사업을 완료했다. 이재준 시장은 “주민들의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해 오랜 기간 모두가 함께 노력해 얻은 중요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더 나은 수원을 만들기 위해 시민들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