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주택 거래 중 월세 비중, 지난해 처음으로 40% 넘어


 

지난해 주택의 전·월세 거래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넘겼다.

국토교통부가 21일 발표한 '2014년 전·월세 거래 동향'과 '2014년 12월 거래량 및 실거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전·월세 거래는 146만6천566건으로 전년보다 6.8% 증가했다.

이 중 월세 거래는 41.0%로 국토부가 2011년 이 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40% 대를 넘겼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월세 거래량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지난해 전세의 빠른 월세전환과 함께 신규 입주 물량 증가, 월세 소득공제 확대에 따른 확정일자 신고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수도권에서 97만8천105건의 전·월세 거래가 이뤄져 전년보다 6.9% 증가했다. 지방의 전·월세 거래량은 48만8천461건으로 6.5% 늘었고,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전·월세 거래량이 전년보다 5.3%, 아파트 외 주택이 8.1% 증가했다.

월세의 증가세는 뚜렷했다.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의 비중은 2011년 33.0%, 2012년 34.0%, 2013년 39.4%, 지난해 41.0%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전국의 전·월세 거래량은 11만7천431건으로 전년 같은달보다 6.0%, 전월보다 3.5% 증가했고 작년 12월 전·월세 거래는 수도권이 전년 같은 달보다 5.9% 늘었고 지방은 6.1% 증가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이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6.9% 증가했고 아파트 외 주택은 0.3% 증가했다.

전세 실거래가격은 대부분 보합세를 보였다.

서울 송파 잠실 리센츠 전용면적 84.99㎡(4층)는 지난해 11월 6억7천만원에 거래되다 12월에는 6억8천만원에 거래됐으며 서울 성북 정릉 풍림아이원 전용 59.88㎡(17층)는 작년 11월 2억원에 거래되다 12월 1억9천만원에 체결됐다.

경기 군포 산본 세종 58.71㎡(7층)는 2억원에서 1억9천만원으로 거래가가 소폭 떨어졌으며 경기 의정부 금오 현대아이파크 84.68㎡(15층)는 작년 11월과 12월 모두 1억5천만원으로 가격의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이해성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동래구,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지방자치단체 ‘행정서비스 부문’ 부산 1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영우 기자 | 부산 동래구가 한국표준협회가 발표한 2025년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에서 기초지자체 행정서비스 부문 부산 1위를 차지했다.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는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 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국내 유일의 서비스 품질 측정 모델로, 공공성, 신뢰성, 친절성, 접근성 등 고객 만족도 기준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매년 평가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행정서비스 부문은 서울, 경기와 인천, 부산, 대전, 대구, 광주광역시 내 72개 지자체(인구 20만 이상 등 기준으로 선별)를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최근 6개월 이내 해당 지역의 행정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주민들이 직접 만족도를 평가해 선정한다. 올해 동래구는 2023년도 수상 당시보다 더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부산시 기초지자체 가운데 가장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특히 ‘본원적 서비스(원하는 행정서비스 제공)’ 및 공공성, 신뢰성, 쾌적성 등을 포함한 총 13개 평가 영역 중 7개 항목에서 최고점을 받으며 최종 1위 기관으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와 관련해 7월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