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14.8℃
  • 맑음서울 10.3℃
  • 맑음인천 9.9℃
  • 맑음수원 8.6℃
  • 맑음청주 12.6℃
  • 맑음대전 11.0℃
  • 맑음대구 11.3℃
  • 맑음전주 12.0℃
  • 맑음울산 11.5℃
  • 구름많음광주 13.7℃
  • 구름많음부산 14.7℃
  • 구름많음여수 15.1℃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천안 8.2℃
  • 구름조금경주시 9.7℃
  • 구름많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2025 세계 사물 인터넷 박람회 우시에서 열려

인텔리전트 커넥티드 월드의 무한한 가능성이 열리다

우시, 중국 2025년 11월 4일 /PRNewswire/ -- 세계 사물 인터넷 박람회(World Internet of Things Exposition, 줄여서 WIoT)가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무한한 가능성'(Intelligent Connectivity, Infinite Frontiers)을 주제로 2025년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우시에서 열렸다.


개막식에서는 장쑤성에서 주관하는 두 핵심 사업인 MEMS 센서 및 ASIC 제조 기술 핵심 실험실(Key Laboratory of MEMS Sensor and ASIC Manufacturing Technology)과 산업 인터넷 플랫폼 활성화 센터(Industrial Internet Platform Enablement Center)가 출범했다. 이 자리에서는 2025년 IoT 10대 트렌드 인사이트(Top 10 IoT Trend Insights 2025)와 5G 첨단 '4대 통합' 커넥티드 모빌리티 (차량, 도로, 클라우드, 네트워크 통합) 도심 시범사업 등 주요 보고서와 사업 결과도 다수 발표되었다. 이번 성과를 계기로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최첨단 인사이트를 흡수, IoT-AI의 통합을 앞당기고 여러 부문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획기적인 IoT 기술과 애플리케이션, 모델을 선정하는 플래그십 어워드 프로그램에는 IoT 에코시스템 곳곳에서 활약 중인 혁신가와 조직이 대거 참여했다. 올해 대회에는 스마트 센서, 첨단 통신, 임바디드 지능, 인텔리전트 커넥티드 자동차, 산업 인터넷 등 핵심 트랙과 위성 인터넷, 양자 센싱 같은 분야가 신설되었다. 전 세계에서 800여 점이 출품된 가운데 시상식에서는 금상 열 점을 포함해 50개 프로젝트가 상을 받았다.

WIoT 2025에는 IoT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연구와 실용적 탐구로 유명한 전문가와 비즈니스 리더들이 대거 참석해 AI, 위성 IoT,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같은 큰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장 야친(Zhang Yaqin) 중국 공학원 객원 교수 겸 칭화대학교 AI 산업 연구소(AIR)장도 이번 행사에 연사로 참여했다.

WIoT 2025에서도 기존 시장 지향적 조직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AI와 IoT을 접목한 협업과 혁신이 집중 조명을 받았다. 이번 행사에서 주목할 점은 글로벌 관점과 전문 지식, 임원급 교류, 실무 적용이었다. 행사는 개막식과 7대 주제 포럼, 산업 전시회, 경연대회 시상, 에코시스템 이벤트 16회 등 다채롭게 구성되었으며 국제적 전문가들과 업계 인재들이 머리를 맞대고 IoT 분야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앞당기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