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충현동물병원에서 알려주는 반려견 구루병 및 골절예방법

강남 논현동 충현동물병원 강원장님이 알려주시는 반려견 구루병 및 골절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강종일 원장님이 알려주신 구루병이란 무엇이며 예방법에 대해서 말씀해주신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루병은 영양의 불균형에 의해 뼈가 약해지는 병으로 생후 2-3개월 된 강아지에게 많이 발생하며 주로 어미젖이 부족했던 강아지, 영양가 없는 사료를 먹여 비타민A와 칼슘이 부족한 경우나 일광욕을 충분히 시켜주지 못해 비타민D가 결핍된 상태일 때 걸린다. 또 운동 부족이나 기생충 감염도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칼슘, 인, 비타민D 등이 부족하면 뼈의 석회 침착 저하, 골단의 비대, 장골의 만곡 등이 일어나 구루병 증상을 야기 시키는데 처음에는 앞다리의 발목 부분이 굵어지고 발바닥이 벌어지며 다리가 O자 형이나 X자 형으로 휘어지거나 L자 형으로 발목이 주저앉는다.

이러한 증상이 맨 처음 나타나는 것은 체중이 앞다리에 가장 많이 실리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는 광대뼈의 돌출, 늑골 혹의 돌출 등, 기타 몸의 여러 곳에서 뼈에 의한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

구루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칼슘제를 많이 먹이거나 주사한다.
칼슘제는 구루병 외에도 골연증, 산후 쇠약, 아세톤 혈증 등의 칼슘 대사 장애의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또 충분한 일광욕과 운동을 시켜준다. 그리고 버터, 치즈, 멸치, 영양제, 계란 노른자, 우유 등을 아주 소량만 먹인다.
고칼로리로 적게 먹이는 이유는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인데 체중을 줄여야만 뼈의 하중을 덜어 휘어진 뼈를 바로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X자 형과 O자 형은 100% 완치가 힘들다.  반면에 L자 형은 체중만 줄이면 쉽게 고칠 수 있다.
개가 구루병에 걸리는 것을 예방하려면 강아지 때부터 너무 체중을 불리지 않도록 주의 해야한다.

정기적으로 종합 구충을 해주고 철분과 칼슘이 많은 음식을 먹인다.
아울러 충분한 일광욕과 적당한 운동을 시켜주면 구루병을 쉽게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구루병에 걸리게 되면 골절이 쉽게 이루어지는데 구루병이 아니더라도 애견 또는 강아지 반려견의 골절예방법은 언제 어느때 발생될수 있는 만큼 골절예방법 일상적으로 쉽게 예방하는 방법은 반려견 발톱을 짧게 깍아주는것이 좋다 착지가 올바르게 되지 않으면 중심을 잡지 못해서 골절이 되거나 발가락 이상징후가 보일수 있다고한다  또한 발바닥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발바닥 털관리를 해주어야 한다고한다

보행이 올바를때 반려견 특히 강아지의 전체의 균형이나 체형이 바로 잡힐수 있기 때문이니 발톱관리 잘해주고 구루병예방에 힘써야 한다고 한다

충현동물병원 강종일원장님은 유기견 봉사활동 및 각종 공중파 방송에서 애견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간단한 애견상식이나 정보는 강남 논현동 충현동물병원 홈페이지에서 상식을 접할수 있다고 한다

강남 논현동 충현동물병원 : http://www.pet7582.co.kr/

데일리연합뉴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