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경기불황속 고위공직자는 재산늘어

평균재산 15억3천400만원…1년새 2억원 늘어, 부동산으로 증식 의원 평균재산 19억2천만원, 고위법관 19억7천만원, 정부고위직 12억9천만원



[양승관 기자] 경기불황 속에서도 우리나라 고위공직자
10명 가운데 7명이 재산이 불어 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정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고위공직자 2302명의 정기재산변동 신고 내용을 관보에 공개했다.

 

이번 공개 자료에 따르면 국회의원, 법관, 고위공무원, 선관위 상임위원 등 2302명의 평균 재산은 153400만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성장률이 3%대 저성장 기조가 수년간 이어지면서 서민 체감경기가 장기 공황인 상황속에서도 고위공직자의 69%1583명의 재산이 늘었으며 토지와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 상승이 공직자 재산 증가를 이끌었다.

 

중앙·지방정부 고위공직자를 망라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대상자(1825) 중에서는 66%1212명의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평균 재산은 1292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9400만원 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박근혜 대통령은 자서전 등 인세수입 증가와 급여 저축 등으로 33592만원 증가한 316950만원을 신고했다.
 
이완구 국무총리의 재산신고액은 전년보다 7393만원 감소한 11367만원이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박근혜 정부 국무위원의 평균 재산은 185천만원이었고, 장관급 인사 27명의 평균 재산은 181천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2천만원 상당 증가했다.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고위 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사법부 고위 인사 167명 중 119(71.3%)도 재산이 증가했다. 1억원 이상 불린 사람은 40명이다.

고위 법관 재산공개 대상자인 154명의 평균 재산은 197502만원이었다. 이 중 101(65.6%)1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했다.
 
헌법재판관 9명의 평균 재산은 173181만원으로 집계됐다.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각각 392750만원과 14740만원을 신고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경우 재산공개 대상자 18명의 평균 재산은 6억원이었고, 13명의 재산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보다 재산이 107만원 증가했으나 여전히 빚이 재산보다 68천만원 많았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13천만원 증가한 63천만원으로 집계됐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동대문구,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국무총리 기관 표창 수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서울시 동대문구는 행정안전부와 국민권익위원회가 공동 주관한 ‘2024년 민원서비스 종합평가’에서 전국 자치구 중 최고 점수를 받아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민원서비스 종합평가는 전국 307개 기관(중앙행정기관 47개, 시도교육청 17개, 광역지자체 17개, 기초지자체 226개)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되며, 동대문구는 2017년부터 6년 연속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어왔다. 올해는 전국 자치구 가운데 1위를 기록하며 최고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평가에서 동대문구는 임산부·노약자·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맞춤형 민원서비스 제공, 민원 담당 공무원 보호를 위한 조직적 보호조치 강화, 특이민원에 대한 법적 대응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장기간 도시 주거지 내 존치되며 주민 불편을 초래했던 삼천리연탄공장을 이전함으로써 고질 민원을 해소하고 주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또한 시민옴부즈만제도를 통해 복잡하고 민감한 고충민원을 공정하고 심층적으로 처리한 점, 국민권익위원회와 협업한 ‘달리는 국민신문고’ 운영으로 전통시장 등 현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