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 쓴 대한 '독립 만세'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재욱 기자 | 한국국학진흥원은 '예술과 문학을 통한 독립운동(경북지역)'이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10월호를 발행했다. 경북은 의병과 독립운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온 지역이다. 우리는 흔히 무장투쟁과 의열투쟁으로 독립운동을 기억하지만, 글로, 음악으로, 그림으로 일제의 탄압과 지배에 저항한 독립운동가도 있다. 이번 호에서는 이들을 기리며 옅어지는 광복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의병항쟁의 중심, 경북 의병장들의 문학 '경북지역 의병항쟁과 의병장들의 문학'에서 김항기 연구위원(독립기념관)은 경북지역에서 벌어진 의병활동과 그들의 저항정신이 담긴 문학작품을 소개한다. 일제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에 개입하면서 조선에 대한 본격적인 침략 정책을 진행하였다. 이에 대항하는 의병은 전기의병이 봉기한 후 1905년 중기의병, 1907년 후기의병 단계로 나뉘는 범민족적인 저항운동을 펼쳤다. 경북지역의 경우 1896년 1월 17일 안동의진을 시작으로 각지에서 창의하였다. 안동의진을 이끈 김도현 의병장은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며 시대를 탄식한 '탄시사歎時事'를 지었다. 그는 망국으로 인해 한몸 묻힐 땅이 없음을 탄식하며 영
- 김재욱 기자 기자
- 2024-10-07 19:02